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더머니] 세계은행, 세계성장률 4.1%→5.6% 상향
"1973년 이래 최고 성장률"…미국 6.8%, 중국 8.5% 예상
미 워싱턴DC 소재 세계은행 건물 전경.[AP]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세계은행(WB)은 8일(현지시간) 발표한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세계 경제가 5.6%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WB는 직전인 1월 5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4.1%로 전망한 것과 비교해 불과 5개월 새 성장률을 1.5% 포인트 상향한 것이다.

AP 등에 따르면, 이러한 성장률 전망치는 1973년 6.6%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세계 경제는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여파로 3.5%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올해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백신 접종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고, 여기에 저금리와 대규모 재정 투입이라는 확장 정책이 결합돼 높은 경제 성장 전망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WB는 다만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경제 회복 속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미국 등 대규모 재정투입이 가능한 선진국의 90%는 내년까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겠지만, 개발도상국의 경우 3분의 1에 불과할 것으로 전망됐다.

국가별로 미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6.8%로 1월 3.5%보다 3.3%포인트나 올라갔다. WB는 저금리와 대규모 재정 지출, 공격적인 백신 접종을 반등 요인으로 봤다.

경제규모 2위인 중국은 올해 8.5% 성장이 예상됐다. 중국은 지난해 코로나19 와중에도 2.3%의 플러스 성장을 기록하며 순항 중이다.

유로화를 사용하는 19개 유럽 국가의 경우 지난해 6.2% 마이너스 성장에서 올해 4.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4.7% 성장률을 기록한 일본 역시 올해는 2.9% 성장할 것으로 예상됐다.

WB는 전염병 대유행 지속 우려, 인플레이션(물가 상승)과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 가능성, 저소득국의 고채무 부담 등을 성장의 하방 리스크로 지목했다.

WB는 물가상승 기대가 제대로 관리되지 못하면 신흥국 중앙은행들이 경기 회복을 위해 적절한 수준 이상으로 긴축 통화정책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