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미 국무, 대만과 무역회담 재개 시사…중국 반발 가능성
“베이징올림픽, 동맹과 협의”
‘보이콧 논의 없다’백악관 해명과 온도차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AP]

[헤럴드경제=홍성원 기자]미국이 대만과 무역·투자회담 재개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대만 문제로 미국과 중국간 갈등이 더 심화할 수 있는 지점이다.

7일(현지시간) 로이터 등에 따르면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이날 하원 외교위 청문회에서 대만과 양자 무역합의에 대한 입장을 묻자 무역대표부(USTR)이 언급할 사항이라고 전제하면서도 “우리가 대만과 대화에 관여 중이고 조만간 어떤 형태의 틀 합의에 관한 대화에 관여할 걸로 알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런 대화는 시작돼야 한다”고 말했다.

워싱턴 주재 대만대표부 대변인은 이와 관련, “우리는 USTR와 논의에 관여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며 “양자 무역 관계의 진전을 이끌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전문가는 블링컨 장관의 발언에 대해 미국이 대만과 무역투자기본협정(TIFA) 관련 협상을 재개하려는 신호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더 넓은 범위의 양자 무역협정까지 추진할지는 결정하지 못했을 거라고 관측했다. TIFA는 자유무역협정(FTA)의 전 단계로 평가된다.

미국은 대만과 1994년 TIFA에 서명한 뒤 관련 무역 회담을 진행해 왔지만, 버락 오바마 행정부를 뒤이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과 무역 협상에 초점을 맞추면서 TIFA 회담은 교착 상태였다.

독일마셜기금의 대만 전문가인 보니 글레이저는 “중국이 ‘하나의 중국’이라는 미국의 약속을 깎아내리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블링컨 장관은 내년 2월 열릴 중국 베이징 동계올림픽 문제와 관련해 동맹·다른 나라들과 공동 접근법을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올림픽에 관한 한 다른 나라, 동맹, 파트너들과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며 “이는 공동의 우려가 무엇인지 확실히 이해하고 이상적으로는 공동의 접근법을 확립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다가올 몇 주 안에 이 문제에 관해 더 많은 것이 있을 것이라고 했다.

미 정치권에선 중국의 신장, 홍콩 등 인권 침해를 문제 삼아 베이징 올림픽에 불참해야 한다는 요구가 팽배하다. 선수단을 파견하된 외교 사절단은 보내지 않는 ‘외교적 보이콧’이 거론된다.

블링컨 장관의 발언은 백악관이 지난 4월 공동 보이콧 문제를 동맹과 협의하고 있지 않다고 밝힌 것과 온도 차가 나는 대목이어서 주목된다.

hong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