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옐런 美재무 “정상 금리로 돌아가길 원해…사회·연준에 플러스”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 [로이터]

[헤럴드경제=홍성원 기자]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은 6일(현지시간) “내년까지 지속하는 인플레이션과 금리 상승을 촉발하더라도 조 바이든 대통령은 4조달러의 지출 계획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옐런 장관은 영국 런던에서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회의를 마치고 이날 블룸버그와 가진 인터뷰에서 “약간 더 높은 금리 환경으로 끝난다면, 그건 사회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관점에서 실질적으로 플러스가 될 것”이라고 했다.

사회기반시설(인프라) 계획·미국 가족 계획 등에 들어갈 바이든 대통령의 천문학적인 재정은 비용을 지속적으로 증가시켜 인플레이션을 높일 거라는 일각의 비판을 일축한 것이다.

옐런 장관은 최근 몇 달간 미국에서 논쟁거리가 된 고(高)인플레이션에 대해 공급망 병목 현상, 경제 활동 재개로 인한 지출 급증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옐런 장관은 “바이든 대통령의 패키지는 매년 대략 4000억달러의 지출을 하게 될 것”이라며 “인플레이션 과잉을 유발하기엔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어 “구제 패키지로 인한 가격 급등은 내년에 사라질 것”이라고도 했다.

연준 의장을 지낸 옐런 장관은 “우리는 10년 동안 너무 낮은 인플레이션과 이자율에 맞서 싸워왔다”며 “정상적인 금리 환경으로 돌아가길 원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문제를 완화하는 데 약간 도움이 된다면, 나쁜 게 아니라 좋은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준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경제 충격 최소화를 위해 기준 금리를 사실상 제로(0)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이런 정책은 2023년까지 지속할 것으로 제롬 파월 의장 등은 예상하고 있다.

옐런 장관은 “다음 구제 패키지를 포기하지 않겠다”며 “그건 부양책이 아니라 우리 경제의 오랜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투자”라고 강조했다.

미 재무부 관리에 따르면 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는 지난달 28일 전화통화에서 옐런 장관이 인플레이션에 대해 갖고 있는 견해를 밝히라고 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익명을 조건으로 기자들에게 당시 상황을 전한 한 관리는 “G7 재무장관 등은 연중 가격 급등이 일시적일 가능성이 있다는 옐런 장관의 평가에 궁극적으로 동의했다”고 말했다.

옐런 장관은 이날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이 지속하면 통화정책 입안자들이 모든 잠재적인 상승을 처리할 수 있다”며 “나는 그 세상을 알고, 그들은 매우 훌륭하다. 그들이 그걸 망치지 않을 거라고 믿는다”고 했다.

고 인플레이션에 대한 논란과 우려를 키운 미 소비자물가지수(CPI) 5월치는 오는 10일 발표될 예정이어서 주목된다. 4월 CPI는 전년 동월 대비 4.2% 상승해 2008년 이후 13년만에 최고치였다.

hong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