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양영경의 현장에서] 전세시장 안정됐다?...시장선 ‘체감 못해’

“집주인한테 전셋값을 이렇게 높이면 누가 들어오겠느냐고 했는데 바로 계약이 된 거예요. 전셋값이 자꾸 오르니 세입자 사이에서 ‘일단 매물을 잡고 보자’는 분위기가 생겼어요.”(서울 서초구 A공인중개사)

최근 만난 강남권 공인중개사들은 또다시 전세시장의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고 입을 모았다. 정부가 올 들어 아파트 전셋값 상승폭이 줄었다고 안도감을 내비쳤지만 현장의 목소리는 달랐다.

정부가 전셋값이 진정됐다고 판단한 근거는 한국부동산원 통계다. 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실제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해 11월 주간 기준으로 0.15%까지 치솟은 뒤 12월부터 서서히 상승폭을 줄였다. 올 들어선 매달 마지막 주를 기준으로 1월 0.12%, 2월 0.07%, 3월 0.03%, 4월 0.02%를 기록했고, 이달 들어 2주간 각각 0.03%를 나타냈다.

국토교통부는 강남권 이주 수요로 인한 전셋값 불안 우려에 ‘그럴 가능성이 낮다’는 입장이다. 올해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의 이주 수요가 지난해의 절반 수준인 약 4200가구에 그친다는 게 근거다. 서초구 일부 단지에서 이주가 시작됐으나 송파·강남구 아파트 전셋값은 상승폭이 둔화하고 있고, 하반기엔 강남권에 신규 입주물량(8000가구)이 꽤 있다는 점도 정부 판단의 주요 근거다.

현장에서는 이를 놓고 ‘현실을 모르는 소리’라고 반응한다. 시장에 풀릴 수 있는 전세물량 자체가 줄어든 점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우선 저금리에 더해 부동산 규제에 대한 반작용으로 ‘전세의 월세화’가 가속했다는 점이 자주 언급된다.

부동산정보업체 아실에 따르면 서울의 전세물건은 이달 20일 기준 2만1275건으로 집계됐다. 3월 20일 2만3757건, 4월 20일 2만3251건보다 줄었다. 반면 월세물건은 이 기간 1만5904→1만6253→1만6274건으로 늘었다.

새 임대차법 시행, 집주인 실거주 요건 강화, 입주물량 등도 전세매물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당장 이달 서울의 아파트 입주물량은 ‘제로’다. 6~9월 입주물량은 약 1만700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 줄어든다. 특히 강남권에선 재건축으로 방배13구역, 서초구 반포주공1단지, 신반포18·21차 등 총 5200여가구의 이주가 맞물린다. 이를 내다본 수요자들이 움직이기 시작하면서 일부 지역에선 전셋값 상승폭이 커졌다.

일각에선 전셋값이 뛸 대로 뛴 상황에서 안정을 언급하는 것 자체가 적절치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KB국민은행 리브부동산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세 중위가격은 6억400만원이었다. 2017년 5월 서울 아파트 중위가격이 6억635만원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4년 전 집값이 전셋값이 됐다.

정부가 야심 차게 내놓은 전세대책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을까. 11·19 전세대책의 핵심 방안 중 하나인 ‘신축 매입약정’으로 서울에서 실제 확보된 물량은 이달 초 기준 125가구다. 올해 목표치 9000가구의 1.3% 수준이다. 현장에서 실수요자가 체감할 수 있는 ‘안정’ ‘진정’은 요원하게 느껴지는 게 사실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