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목재·주식·비트코인, 안 오르는 게 없다…“거품 공포”
과거 자산 버블 현상과 유사해 투자자들 대비
저금리 유지돼 자산 가격 올라갈 여지 주장도
글로벌 자산 시장에서 모든 자산의 가격이 치솟고 있어 ‘버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진은 미 뉴욕증권거래소의 업무 장면.[로이터]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건축 자재인 목재부터 주식, 원유, 부동산, 비트코인까지 올초 대비 모든 자산가격이 동시에 치솟으면서 글로벌 자산 시장의 거품 논란이 일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5일(현지시간) 글로벌 시장이 거품 상태에 접어들었다는 공포가 커지고 있다며 다양한 자산이 이처럼 한꺼번에 오르는 것은 드문 일이라고 진단했다.

WSJ에 따르면 목재 가격은 최근 역대 최고로 치솟았고, 미국의 주택 매매 건수는 부동산 거품 붕괴 직전인 2006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부터 가장 빠르게 회복하기 시작한 증시 또한 최고점을 연일 돌파하고 있다. 뉴욕증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와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올해 들어서만 각각 23번, 21번 신고점을 갈아치웠다. 미국, 프랑스, 호주 등 주요국의 대표 주가지수 역시 올해 사상 최고치 기록을 새로 썼다.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은 최근 급락 직전 사상 첫 6만달러 고지를 돌파했다.

미 월스트리트 전문가들은 이처럼 다양한 자산 시장에서 동시에 나타나는 ‘버블’ 조짐은 100년 전 ‘광란의 20년대(Roaring ’20's)’와 비슷하고, 기술주 고평가 현상은 20여년 전 ‘닷컴버블’과 비교된다고 지적한다.

이런 버블 현상의 ‘데자뷔’에 다수 투자자는 대규모 조정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지표상 증시는 과열된 상태다. S&P500의 주가수익비율(PER)은 현재 26배에 달한다. 금융정보업체 팩트셋에 따르면 테슬라의 PER은 1130배이고, 엔비디아는 86배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하지만, 과거의 버블 붕괴와는 다른 양상과 투자 환경도 주목되고 있다. 1980년대 일본의 자산버블 붕괴와 2000년 닷컴버블 붕괴, 2008년 부동산 버블 붕괴를 예측한 유명 투자자 제러미 그랜섬은 WSJ에 “이번 상황은 우리가 과거 겪었던 다른 어떤 버블과도 다르다”며 “과거의 버블은 경제 여건이 완벽에 가까워 보일 때 일어났지만 이번에는 경제가 어려운 상태에서 자신 시장이 어마어마하게 치솟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탄탄한 경제 성장이 견인한 과거 호황기 때는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를 올려 거품을 터뜨리는 역할을 자임했으나, 현재 연준은 ‘저금리가 자산 거품을 키운다’는 개념 자체를 부인한다고 신문은 전했다.

미 연준은 ‘제로금리’를 2023년까지 유지할 방침이고, 정부와 의회는 경기회복을 우선시해 수조달러의 천문학적 재정부양으로 시장에 돈을 풀 계획이다. 이에 따라 상당수 투자자는 금리가 낮게 유지되는 한 자산 가격이 더 올라갈 여지가 있다는 믿음을 거두지 않고 있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