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LH 용역수주’ 톱5 급여 10%↑…전관 모시기 탓?[촉!]
작년 LH용역 수주 상위업체 10곳 중 6곳 급여 증가
1~4위는 두자릿수 급증…“전관 연봉은 기본 수억원”
경실련, 업무방해 혐의로 경찰에 고발 방침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입찰 담합 의혹을 제기한 한국토지주택공사(LH) 건설사업관리 용역 수주 상위업체들 10곳 중 6곳은 지난해 급여 지출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입찰에 유리하기 위해 LH 전관 출신을 영입하면서 인건비 지출이 증가했다는 분석이다. 경실련은 이들 업체들에 대해 업무방해 혐의로 경찰에 고발할 방침이다. 경남 진주 LH 본사 입구에 붙어 있는 LH 로고. [연합]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 ‘입찰 담합’ 의혹이 제기된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건설사업관리 용역 수주 상위 업체들 상당수가 지난해 급여 지출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용역을 따내려고 고액 연봉의 LH 전관을 영입한 여파라는 분석으로, 의혹을 제기한 시민단체는 경찰 고발을 예고했다.

21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담합 징후가 강하다며 공개한 2020년 1~2021년 3월 LH 용역 수주 상위 10개 업체들의 감사보고서를 살펴본 결과, 지난해 이들 업체 중 6곳의 급여(판관비·매출원가 중 인건비 합계 기준)가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위 5개 업체들의 급여는 총 9.7% 늘어났다. 이들 5곳 중 4곳이 모두 급증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수주 1위인 업체는 급여가 50억원 넘게(20.6%) 뛰며 가장 큰 증가 폭을 기록했다. 아울러 2위(15.8%)·3위(13.6%)·4위(19.1%) 업체들 역시 두 자릿수로 증가했다.

임원·관리직 위주로 추려 판관비로 잡힌 급여 항목으로 좁혀 보더라도, 급여가 증가한 업체 비율이 10곳 중 6곳이라는 사실은 같았다. 상위 5곳 중 4곳에서 급여가 늘어난 것도 동일했다.

용역 수주 상위 업체들의 급여 지출이 늘어난 데는 LH 전관 출신 영입이 한몫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경실련은 LH 내부위원이 낙찰업체 선정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만큼, LH 출신 근무 여부가 유불리를 갈랐다고 보고 있다.

경실련 관계자는 “현장에 투입되는 감리원은 평균 연봉이 4000만원 정도지만, 전관들은 기본적으로 수억원의 연봉을 받는다”며 “전관 2~3명만 영입돼도 인건비가 늘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전관 영입을 통해 LH 내부위원 평가에서 유리해진 업체들로 지목된 회사들은 난색을 표하고 있다.

한 업체 관계자는 “공기업 퇴직자들이 취업한 감리회사들이 전국에 수십곳이나 된다”며 전관예우가 작용했다는 의혹을 부인했다. 그러면서 “입찰에 참여할 때 보통 4~5곳이 컨소시엄을 구성하는데, 이들 전체 수주금액을 대표사가 모두 받아간 것으로 집계해 수주 상위업체를 지목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경실련은 이번 LH 용역 입찰 담합 의혹을 경찰에 고발하기로 했다. 경실련 관계자는 “LH 부동산 투기 의혹을 수사하는 경찰에 업무방해 혐의로 입찰 담합에 가담한 업체들을 고발하는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실련에 따르면 LH 용역 수주 상위 10개 업체는 지난해 LH가 발주한 용역 92건 중 49건(53.3%)을 낙찰받았고, 계약금액으로는 64.3%(2898억8000만원)를 싹쓸이했다. 개별 사업금액 상위 10개 사업 중 9개 사업은 LH 전관 영입 업체가 가져갔다.

sp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