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韓외교 미·중에서 ‘슈퍼 위켄드’…북핵에 초점, 미중갈등은 부각 안돼
韓美日 “북핵문제 시급성 공감”·韓中 “평화프로세스 협력”
美 ‘인도·태평양 안보 우려’ vs 中 ‘국제법 기반한 국제질서’
中 시진핑 방한 의지 재확인…韓中 조속한 방한 소통키로
한국시간으로 3일 한미일 안보실장 협의와 한중 외교장관회담이 앞서거니뒤서거니 열린 가운데 북핵문제에 초점이 맞춰지면서 애초 우려됐던 미중갈등은 크게 부각되지 않았다. 서훈(오른쪽)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제이크 설리번(가운데)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기타무라 시게루 일본 국가안보국장은 2일(현지시간) 워싱턴DC 인근 미 해군사관학교에서 한미일 안보실장 협의를 가졌다. [연합]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미중갈등 고조와 북한 탄도미사일 도발이라는 민감한 시기에 향후 한반도정세와 한국 외교안보에 적잖은 영향을 미칠 굵직한 외교이벤트가 막을 내렸다.

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2일(현지시간) 미국을 방문해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기타무라 시게루 일본 국가안보국장과 한미일 안보실장 협의를 가졌다. 공교롭게도 한국시간으로 한미일 안보실장 협의가 끝나고 얼마 안돼 중국을 찾은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과 한중 외교장관회담을 가졌다.

애초 미중의 우군 끌어들이기 경쟁이 가열된 상황에서 한국의 입장이 난처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지만 뚜껑이 열린 결과 미중갈등은 크게 부각되지 않았다. 한미일 안보실장 협의와 한중 외교장관회담 모두 북핵문제에 초점이 맞춰졌기 때문이었다.

조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린 한미일 안보실장 대면협의에서는 이달 윤곽을 드러낼 예정인 미국의 새로운 대북정책을 중점 논의했다. 한미일은 미국의 대북정책 검토를 협의하고 북한의 핵·탄도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한 우려를 공유했다. 또 한미일 공조를 통해 비핵화 문제에 대응하고 해결하자고 입을 모았다. 서 실장은 한미일이 북핵문제의 시급성과 외교적 해결 필요성에 공감했다면서 북미협상 조기 재개를 위한 노력에도 뜻을 같이했다고 소개했다.

태평양 건너편에서 진행된 한중 외교장관회담에서도 한반도문제가 비중 있게 다뤄졌다. 정 장관과 왕 부장은 한반도정세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한반도 비핵화 실현과 항구적 평화 정착이라는 목표를 공유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또 향후 한반도정세의 안정적 관리와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진전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정 장관은 회담 종료 뒤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어떻게 진전시킬 수 있을지 심도 있는 의견을 나눴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은 우리 정부의 한반도 항구적 평화 정책과 완전한 비핵화 정책을 지지한다”면서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건설적인 역할을 해줄 것을 요청했고 중국도 할 수 있는 협력을 하겠다고 약속했다”고 전했다. 왕 부장은 회담에서 “한국과 함께 대화 방식으로 한반도문제의 정치적 해결 프로세스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미국과 중국 모두 서로를 겨냥한 견제를 완전히 거두지는 않았다. 백악관은 한미일 안보실장 협의에서 통상 중국 견제를 의미하는 인도·태평양 안보를 논의했으며 공동의 민주적 가치에 기반한 공동 비전 증진에도 합의했다는 점을 내세웠다. 미국이 중국과 기술경쟁에서 중요한 전략품목으로 간주하는 반도체 문제가 논의된 것도 같은 맥락이라 할 수 있다. 미 국무부는 이날 한중 외교장관회담과 관련해 “중국과 논의에 관여하겠다는 한국 외교부 장관의 결정에 대해 논평할 위치에 있지 않다”며 말을 아끼는 모습을 보였다.

중국 역시 그냥 넘어가지 않았다. 왕 부장은 “국제법에 기반해 국제질서를 유지하고 다자주의를 함께 지키며 공동의 이익을 확대하길 바란다”며 다분히 미국을 향한 메시지를 보냈다. 왕 부장이 “한중은 지역 평화와 안정에 비슷한 입장을 갖고 있다”고 언급한 것도 미묘한 대목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미국은 동맹이고 중국은 지리적·역사적·문화적으로 가까울 뿐만 아니라 최대 교역국”이라며 “미중 양국이 갈등요인을 줄이고 협력할 수 있는 부분을 늘리는 게 좋다는 의견을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중국은 한중 외교장관회담에서 시진핑 국가주석의 방한 의지를 재확인했다. 이에 따라 한중은 시 주석의 방한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이 안정돼 여건이 마련되는 대로 조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소통을 이어가기로 했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