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김여정 “文은 미국산 앵무새인가”
“세상이 어떻게 보는지 돌아봐야”
文 서해수호의 날 기념사 맹비난

김여정(사진)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30일 담화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지난 26일 서해 수호의 날 기념사와 작년 7월 국방과학연구소(ADD) 방문 발언을 인용한 뒤 “비논리적이고 후안무치한 행태는 우리의 자위권을 유엔 결의 위반이니, 국제사회에 대한 위협이니 걸고드는 미국의 강도적 주장을 신통하게 빼닮은 꼴”이라며 “미국산 앵무새라고 ‘칭찬’해주어도 노여울 것은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틈틈이 세상이 자기를 어떻게 보는지 좀 돌아보는 것이 어떤가싶다”고 꼬집었다.

문 대통령은 서해수호의 날 북한 ‘신형 전술유도탄’에 대해 남북미 대화 노력에 어려움을 주는 일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작년 ADD를 방문했을 때는 현무-2와 관련 한반도 평화를 지키기 충분한 세계 최대 수준의 탄두 중량을 갖춘 탄도미사일이라고 언급했다.

김 부부장은 이에 “북과 남의 같은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진행한 탄도미사일 발사시험을 놓고 저들이 한 것은 조선반도 평화와 대화를 위한 것이고 우리가 한 것은 남녘동포들의 우려를 자아내고 대화 분위기에 어려움을 주는 바람직하지 않은 일이라니 철면피함에 경악을 금할 수 없다”고 비난했다.

김 부부장은 대미메시지는 내놓지 않았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김 부부장과 앞서 외무성 국제기구국장 모두 미국을 직접 조준하지 않았다”며 “미국을 조준할 경우 바로 대치국면으로 갈 가능성이 높고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먼저 한국 흔들기에 나선 것”이라고 분석했다. 홍 실장은 이어 “북한이 대남관계에서도 ‘강대강·선대선’ 비례성의 원칙을 적용하는 모습”이라며 “비례성의 원칙에 따라 남측의 태도를 지켜보면서 선제적으로 강하게 나서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그나마 긍정적으로 예측해볼 수 있는 대목”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김 부부장은 이날 담화를 ‘당 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 부부장’ 명의로 발표했는데 제8차 노동당 당대회 계기에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에서 선전선동부 부부장으로 자리를 옮긴 것으로 보인다. 신대원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