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재산공개] 윤석열 ‘69억원’ 중앙부처 5위…정부 고위직 평균은 14억원
文대통령 20억원·정세균 45억원·이재명 29억원
6월까지 토지·건물 거래의심자 심사 뒤 조치 방침
34.2% 직계존비속 재산 고지 거부…5년 간 최고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25일 관보를 통해 2021년 정기 재산변동사항을 공개했다. 1885명의 정부 고위공직자 1인당 평균 재산은 14억1297만원이었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은 69억900만원을 신고해 중앙부처 고위공직자 가운데 5위에 이름을 올렸다. 자료사진. [헤럴드경제=박해묵 기자]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정부 고위공직자 1885명의 지난해 말 기준 재산은 1인당 평균 14억1297만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대비 평균 1억3112만원이 증가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25일 ‘2021년 공직자 정기 재산변동사항’을 관보를 통해 공개했다. 행정부 소속 정무직, 고위공무원단 가등급, 국립대학총장, 공직유관단체장, 광역·기초 지방자치단체장, 광역의회 의원, 시·교육감 등이 대상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1억2700여만원 증가한 20억7700여만원을 신고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6억6000만원 줄어든 44억9300만원,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4억200만원 늘어난 14억7200만원을 각각 신고했다.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19억3100만원으로 국무위원 가운데 재산이 가장 많았다.

광역 자치단체장 가운데 1위는 32억5500만원의 이춘희 세종시장이었다. 28억6400원을 신고한 이재명 경기지사와 26억7700만원을 신고한 박남춘 인천시장이 뒤를 이었다.

정부 고위공직자 중 재산 총액 1위는 김종갑 한국전력공사 사장으로 165억3100만원을 신고했다. 이어 박영서 경상북도 의원 148억1900만원, 노도영 기초과학연구원 원장 140억5200만원 순이었다.

중앙부처만 따져보면 최기영 과기부 장관에 이어 김경선 여가부 차관, 이강섭 법제처장 순으로 집계됐다. 차기 대선 출마를 고심중인 것으로 알려진 윤석열 전 검찰총장은 69억900만원으로 중앙부처 고위공직자 가운데 5위를 기록했다.

전체 신고자 가운데 79.4%인 1049명의 재산이 늘었는데, 이들 중 8.8%인 132명은 5억원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직자윤리위는 주택 공시가격 및 토지 개별공시지가 상승, 종합주가지수 상승, 비상장주식 가액산정 현실화 등에 따른 가액 변동과 급여 저축, 상속, 수증 등을 재산 변동 요인으로 꼽았다.

이와 함께 공직자윤리위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태에 따라 오는 6월 말까지 부동산 관련 기관 공직자들의 재산을 자세히 들여다보기로 했다. 도시개발 지역 내 토지·건물 소유자와 토지 신규 거래자 중 이상거래 의심자 등을 우선 선정해 취득일과 경위, 소득원 등 재산형성과정을 집중심사한다는 방침이다. 이 과정에서 직무상 알게 된 비밀 이용 등 위법 혐의 발견 즉시 직무배제 요청과 수사기관 조사를 의뢰하고 위법사항 확인시 소속기관 징계의결 요구, 처벌 등 조치하기로 했다. 황서종 인사처장은 “일부 공직자의 투기 의혹으로 국민들의 상실감이 큰 데 대해 송구하다”며 “부동산 관련 기관에 이어 나머지 공직자에 대한 심사를 조속한 시일 내 마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재산공개 대상자 가운데 34.2%는 직계존비속 재산 고지를 거부했다. 이는 지난 2019년 27.4%, 2020년 29.9%에 비해 크게 올랐으며 최근 5년 간 비교해도 최고치다. 이 때문에 고위공직자들이 고지 거부제를 이용해 사실상 투명한 재산 고지를 회피한다는 비판도 나온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