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아시아인들은 바이러스가 아니다”…美 전역서 아시아계 지지 집회
20일 애틀랜타 시내서 수백명 시위…주 의사당 행진하며 구호 외치기도
피츠버그 집회서는 유명 여배우 샌드라 오 깜짝 등장…“아시아인이란게 자랑스러워”
美 뉴욕한인학부모협회 기자회견…“바이든, 강력한 보호법 속히 제정할 것 촉구”
희생 한인 피해자 유족, 조지아주 연방 검사장 역임 박병진 변호사 선임
20일(현지시간) 백인 남성의 총격으로 한인 여성 4명을 포함해 아시아계 여성 6명이 숨진 사건이 발생했던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수백명의 시민들이 모여 아시아계 미국인들에 대한 혐오 범죄를 규탄하고 이들의 인권 향상을 요구하는 집회를 벌이고 있다. [EPA]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백인 남성의 총격으로 한인 여성 4명을 포함해 아시아계 여성 6명이 숨진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 총격 사건에 항의하고 아시아계 미국인들의 인권 향상을 요구하는 집회가 미 전역에서 개최됐다.

20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 등 미 언론에 따르면 이날 오후 애틀랜타 시내의 주 의회 의사당 옆 공원에서 열린 집회에는 한인들을 포함한 시민과 활동가 등 수백명이 참가했다.

참가자들은 연설에서 총격 사건의 피의자 로버트 앨런 롱(21)의 범행으로 숨진 희생자 8명 중 6명이 아시아계 여성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항의했다.

이들은 이어 우드러프 공원을 출발해 주 의사당으로 행진하면서 “아시아계를 향한 증오를 멈춰라”, “아시아인들은 바이러스가 아니다” 등의 구호를 외쳤다.

뉴욕타임스(NYT)는 이 집회가 시민들이 함께 모여 참사의 슬픔을 나누고 아픔을 치유하며 피해자에 대해 지지를 표시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전했다.

주말을 맞아 총격 사건이 벌어진 애틀랜타 뿐만 아니라 피츠버그, 샌프란시스코 등 미 주요 도시들에서도 동시다발적으로 아시아계 미국인에 대한 지지 집회가 열렸다.

CBS 방송에 따르면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에서 열린 집회에는 한국계 여배우 샌드라 오가 깜짝 등장해 연사로 나섰다. 그는 약 2분 동안 구호를 외치며 수백 명의 군중을 이끌었다.

20일(현지시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에서 열린 아시아계 미국인에 대한 지지 집회에는 한국계 유명 여배우 샌드라 오(가운데)가 깜짝 등장해 연사로 나섰다. 그는 약 2분 동안 구호를 외치며 수백 명의 군중을 이끌었다. [CBS 피츠버그 방송 화면 캡쳐]

그는 “여기에서 여러분과 함께 하게 돼 정말 기쁘고 자랑스럽다”며 “나는 아시아인이라는 것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또 “지역사회에 있는 많은 사람에게 우리가 두려움과 분노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우리는 자매와 형제들에게 손을 내밀어 ‘도와달라’고 말해야 한다”고 외쳤다.

샌프란시스코 차이나타운의 포츠머스 스퀘어에도 수백명이 모여 아시아계에 대한 증오를 멈추라고 촉구했다.

같은 날 뉴욕 퀸스의 머리힐역 광장에서도 미국 뉴욕한인학부모협회가 애틀랜타 총격 사건 추모 기자회견을 열어 “경찰이 확실히 인종차별 범죄임을 파악하고 공정히 수사하도록 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애틀랜타 경찰이 총격범의 ‘성 중독’ 주장을 인용한 데 대해 “무참하게 죽어간 피해자를 인종차별하는 것은 물론 열심히 일하는 모든 아시아계를 모독하는 것”이라며 “조 바이든 대통령이 뉴욕 플러싱을 방문해 아시아계와 이들이 경영하는 사업체가 불안에 떨지 않도록 위로하고 강력한 보호법을 속히 제정할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20일(현지시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에서 열린 아시아계 미국인들에 대한 지지 집회에 참가한 시민들이 “아시아계 주민들에 대한 혐오를 멈춰라”란 구호가 적힌 피켓을 들고 행진하고 있다. [EPA]

이 밖에 시카고 등지에서도 아시아계 미국인 공동체를 지지하는 모임이 계획됐다고 WP는 전했다.

이들 집회는 총격 사건을 계기로 아시아계를 겨냥한 증오범죄 확산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열린 것이다.

한편 희생된 한인 피해자의 유족은 변호사를 선임해 법적 대응 모색에 나섰다.

미 언론에 따르면 피해자 유 모씨의 유족은 조지아주 북부 연방 검사장을 역임한 한국계 박병진(미국명 BJay Pak) 변호사를 선임했다.

미국의 첫 한국계 연방 검사장이었던 박 변호사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임기 말인 1월 초 갑작스럽게 사임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이 조지아주 대선 패배를 뒤집기 위해 주장한 ‘선거부정’ 의혹과 관련, 이를 수사하지 않는 것에 트럼프 측이 불만을 품었고 법무부 관리가 사퇴를 촉구했었다는 보도가 나왔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