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광주전남 40개 시민단체 “한전공대특별법 반대하는 국민의힘 답할 차례” 비판
광주전남 시민단체들이 15일 한전공대특별법의 3월 국회통과를 촉구하고 있다.

[헤럴드경제(광주)=박대성 기자] 광주전남지역 40여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공공기관 추가이전 광주전남시도민운동본부’는 15일 “한전공대(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가 예정대로 내년도 정상 개교를 위해서는 이번 3월 회기 내 한전공대 특별법이 반드시 통과돼야 한다”며 여야 정치권에 요청했다.

한전공대특별법은, 현행 사립학교법인을 특수법인으로 전환해 정부와 지자체, 공공기관 재정지원의 근거를 마련해 개교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규제를 풀자는 것으로, 특례규정과 대학명칭 변경 등의 안이 담겨 있다.

광주전남시도민운동본부는 성명서에서 “한전공대 설립은 전국에서 가장 낙후된 우리 지역의 균형발전을 위한 국가정책 수단의 일환으로 받아들여야지 특혜가 아니다”며 “세계적 수준의 에너지 분야 연구중심 대학 설립이 목표로 우수한 인재 양성과 연구 개발을 통해 관련 산업 발전을 선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서 “과거 사례를 보면, 포스텍(포항공대)이 있음에도 인근 울산지역에서 과학기술원(유니스트)을 설립하려고 할때 호남에서는 반대하지 않았고 가덕도특별법도 현재 반대하지 않고 있음에도, 지금 국민의힘(옛 새누리당)은 한전공대특별법을 반대하고 있어 이들이 진정성있게 호남에 다가서려하는지 의문이다”며 비판했다.

나주지역구 신정훈 국회의원도 “한전공대는 에너지신산업의 국제적인 시장과 기술을 선점한다는 의미와 함께 에너지밸리 형태로 국토 균형 발전의 소임을 위한 것으로 이번 회기에 통과돼야 한다”며 “참여정부 시절 대구경북과학기술원(디지스트), 유니스트(울산과기원)를 지역산업 발전이라는 명분아래 해당 지역과 정치권에서 추진할 인근에 포스텍이 엄연히 존재하고 있었지만 지역간 대립을 떠나 국가적 과제이고 동서 균형발전을 위해 적극 협조한 사례가 있다”며 상기시켰다.

지역 시민사회단체는 외국사례에서 볼때 성공한 혁신도시 이면에는 미국 실리콘밸리와 스탠포드대학교, 말뫼대학 같은 특성화대학이 지역발전을 선도하고 부흥시킨 사례가 있기 때문에 지방대학 하나 늘리는 것 쯤으로 보는 시각이 부당하다는 항변이다.

앞서 전남도에서는 혁신도시 한전 본사 인근에 공대를 설립해 세계적인 에너지특화공대로 육성해 미국의 ‘칼텍’이나 ‘올린공대’ 모델을 벤치마킹하겠다는 입장을 냈다.

광주전남시도민운동본부는 이어 “정부는 최근 전력발전 기금의 시행령 개정을 통해 한전공대 지원의 법적 근거를 마련했고 지자체와 기업에서는 수천억원에 이르는 대학교 부지 제공과 운영비 지원의 결단을 내린 바 있다”며 “이처럼 지역 주민의 간절한 염원에 부응해 이제 정치권, 특히 가장 큰 야당인 ‘국민의힘’이 답해야 할 차례”라고 강조했다.

parkd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