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합의 준수부터” vs “제재 해제부터”…美·이란 핵합의 복귀 줄다리기 시작
바이든, CBS 인터뷰서 對 이란 제재 先 해제 “No”
하메네이, 같은 날 연설서 “美 제재 해제 시 이란도 의무 복귀”
조 바이든(오른쪽) 미국 대통령이 공언한 이란핵합의(JCPOA,포괄적공동행동계획) 복귀를 두고 미국과 이란이 서로의 양보를 선행 조건으로 내걸며 힘겨루기를 벌이는 모양새다. 바이든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방송된 미 CBS와의 인터뷰에서 대(對) 이란 선(先) 제재 해제가 없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왼쪽) 이란 최고지도자는 같은 날 연설에서 미국의 제재 해제가 핵합의 복귀의 선결 조건이란 점을 분명히 했다. [AP, CBS 방송화면 캡쳐]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공언한 이란 핵합의(JCPOA,포괄적공동행동계획) 복귀를 두고 미국과 이란이 서로의 양보를 선행 조건으로 내걸며 힘겨루기를 벌이는 모양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란의 합의 준수가 첫 단추가 될 것이라 내건 반면, 이란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다시 부과한 제재 해제를 선결 조건으로 내걸며 맞서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방송된 미 CBS와의 인터뷰에서 이란을 협상 테이블로 되돌아오도록 하기 위해 먼저 제재를 해제할 것이냔 질문에 “아니다(No)”라고 잘라 말했다.

또 이란이 먼저 우라늄 농축을 멈춰야 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는 답변 없이 동의의 표시로 고개를 끄덕였다.

이날 방송된 인터뷰는 지난 5일 녹화된 것으로, 이란의 핵합의 이행이 핵합의 복귀에 선행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방송된 미 CBS와의 인터뷰에서 이란을 협상 테이블로 되돌아오도록 하기 위해 먼저 제재를 해제할 것이냔 질문에 “아니다(No)”라고 잘라 말했다. [CBS 방송화면 캡쳐]

로이터 통신은 바이든 대통령의 발언이 이란의 우라늄 농축 완전 중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핵합의를 넘어서는 범위의 농축을 멈춰야 한다는 의미라고 미 고위 당국자의 발언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란은 지난달 포르도 핵시설에서 우라늄 농축 농도를 20%로 높이는 것을 재개하고, 첨단 원심분리기를 사용하는 등 기존 핵합의 내용을 위반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이란은 핵합의에 따라 우라늄을 3.67%까지 농축할 수 있다.

바이든 대통령의 인터뷰가 방송되기 전 이란 역시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 최고지도자가 나서 미국과의 기싸움에서 물러나지 않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하메네이 최고지도자는 같은 날 연설에서 “만일 이란이 의무로 복귀하길 원한다면 미국은 실제로 모든 제재를 해제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 “미국이 제재를 해제하면 이를 검증한 뒤 이란도 자신의 의무로 복귀할 것”이라며 “이는 이란의 확정적이고 불가역적인 정책”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가 7일(현지시간) 연설을 통해 “만일 이란이 (핵합의) 의무로 복귀하길 원한다면 미국은 실제로 모든 제재를 해제해야 한다”고 발언하고 있다. [EPA]

하메네이 최고지도자의 대미 논평은 지난달 20일 바이든 대통령 취임 후 처음 나온 것으로, 미국의 우선적인 제재 해제를 핵합의 정상화의 선결 조건으로 못 박은 것으로 평가된다.

이란은 2015년 7월 미국을 포함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영국·프랑스·러시아·중국), 독일 등 주요 6개국과 핵 합의를 체결했다. 우라늄 농축 등 이란의 핵 활동을 제한하는 대신 이란에 국제사회 제재를 완화하는 내용이 골자였다.

하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 합의가 이란의 핵 개발은 막지 못한다며 2018년 5월 이 합의에서 탈퇴했고, 이후 이란을 향해 각종 제재를 가해왔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