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위기의 공연계에 250억원 재기지원
박양우 문체부 장관 2021 업무보고

코로나 19로 위기에 처한 공연계 등 예술·콘텐츠 분야 피해 기업들에 경영정상화를 위한 250억원 규모의 ‘재기지원 펀드’가 신설되고, 139억원 상당의 공연할인권이 지급된다.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2월2일 ‘문화로 되찾는 국민 일상, 문화로 커가는 대한민국’을 목표로 2021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문체부는 신한류 문화확산과 국민의 문화향유 개선 등 지난 4년간 성과를 바탕으로, 올 한해 코로나 극복을 통해 문화생태계 회복과 문화산업 육성에 나설 방침이다.

우선 문화생태계 회복을 위해 벼랑끝으로 몰린 여행·숙박업 등 업계 지원을 위해 신용보증부 특별 융자 등을 확대하고, 총 200만 장 · 516억원 규모의 숙박할인권 제공, 지역 공연활성화 등을 통해 국내 관광산업의 활력을 높여 나간다는 방침이다.

또한 코로나 상황에도 국민들이 지속적으로 문화를 즐길 수 있도록 온라인 케이팝 공연장 조성 및 제작 지원(265억 원) 등 디지털·비대면 콘텐츠 창작과 제작 지원에도 적극 나선다.

지난해 12월 도입된 에술인 고용보험 제도의 정착과 경력 2년 미만의 신진예술인 창작준비금 지원 등 예술인 복지 정책도 이어진다.

문 정부에서 집중해온 문화향유 확대는 지속된다. 취약계층의 통합문화이용권·스포츠강좌이용권의 지원 규모와 대상을 확대하고 자동재충전 등 운영방식도 개선된다. 관광분야에서는 근로자 휴가지원 및 청소년 대상 여행 지원 사업을 확대하며, 코로나로 지친 국민을 위한 인문프로그램, 문화예술 치유와 종교 치유 프로그램 지원에도 나선다. 지역의 문화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통합정보 관리 시스템 구축(70억 원),12개 문화도시 조성 및 예비 도시 선정(184억 원)도 추진된다.

새로운 기회를 맞고 있는 신한류 지속화도 올해 중점 과제다. K붐 속에 국가 위상과 연계한 협업상품을 개발하고 범정부 4대 K브랜드(문화·한식·미용·중소기업 제품)의 해외 진출에 나선다.

또한 콘텐츠 수출지원 플랫폼인 ‘웰콘(Welcon)’을 활용한 콘텐츠 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 대표 콘텐츠 발굴·유통 등 기초예술의 해외진출도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한국어 확산을 위한 세종학당 지원, 교원파견, 온라인 학습지원도 강화된다.

박양우 장관은 “2021년은 문화를 통해 코로나로 힘들었던 국민의 일상이 회복되고, 우리 사회가 더욱 포용하며, 세계 속에 선도국가로 도약하는 한 해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문체부가 할 수 있는 모든 역량을 결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윤미 기자/mee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