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브렉시트 2주…英 ‘먹거리 걱정’
추가비용에 식료품 공급 차질
북아일랜드 슈퍼 냉장고 비어
지난 11일 영국 북아일랜드 벨파스트에 위치한 쇼핑 센터의 한 슈퍼마켓 신선식품 매대가 텅 빈 모습. [AP]

지난해 말 전환기간 종료로 실질적인 브렉시트(Brexit,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가 단행된 지 2주가량 지난 가운데 영국 내 식료품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

13일(현지시간) BBC 방송에 따르면 영국 식료품연맹(FDF)은 이날 대변인 발표를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봉쇄로 인한 식료품 업체들의 피해를 감안할 때 세관 절차와 비관세 장벽 강화로 인해 야기된 추가 비용을 업체들이 흡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업체 생존을 위해 소비자 판매 가격을 인상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FDF는 영국 정부가 EU와 너무 늦게 브렉시트 미래 관계 협정을 맺는 바람에 식음료 회사들이 준비할 시간이 부족했다고도 비판했다.

같은 날 테스코와 세인스버리, 아스다, 마크스 앤드 스펜서(M&S) 등 영국 대형 유통업체는 마이클 고브 국무조정실장에게 서한을 보내 북아일랜드 식료품 공급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정부의 긴급한 개입이 없으면 앞으로 혼란이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북아일랜드 협약’에 따라 영국 영토지만 EU 단일시장에 남기로 한 북아일랜드로 건너가는 영국 본토 식료품에 대해 비록 3개월간 유예기간(grace period)을 적용하기로 했지만 새로운 절차로 신선식품 공급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일부 북아일랜드 지역 슈퍼마켓에선 신선식품 냉장고가 텅 빈 모습이 나타나기도 했다. 신동윤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