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브렉시트 2주…英, 식품 공급 차질·비용 상승 현실화
英 식료품연맹 “비용 상승분 소비자에 전가할 수밖에”
대형 유통업체, 북아일랜드 식료품 공급 문제 경고
英 정부, 대책 마련에 고심…해결책 마련 약속
13일(현지시간) 영국 대형 유통업체들이 마이클 고브 국무조정실장에게 서한을 보내 북아일랜드 식료품 공급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정부의 긴급한 개입이 없으면 앞으로 혼란이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사진은 지난 11일 영국 북아일랜드 벨파스트에 위치한 쇼핑 센터의 한 슈퍼마켓 신선식품 매대가 텅 빈 모습. [AP]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지난해 말 전환기간 종료로 실질적인 브렉시트(Brexit,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가 단행된 지 2주가량 지난 가운데 영국 내 식료품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

13일(현지시간) BBC 방송에 따르면 영국 식료품연맹(FDF)은 이날 대변인 발표를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봉쇄로 인한 식료품 업체들의 피해를 감안할 때 세관 절차와 비관세 장벽 강화로 인해 야기된 추가 비용을 업체들이 흡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업체 생존을 위해 소비자 판매 가격을 인상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FDF는 영국 정부가 EU와 너무 늦게 브렉시트 미래 관계 협정을 맺는 바람에 식음료 회사들이 준비할 시간이 부족했다고도 비판했다.

같은 날 테스코와 세인스버리, 아스다, 마크스 앤드 스펜서(M&S) 등 영국 대형 유통업체는 마이클 고브 국무조정실장에게 서한을 보내 북아일랜드 식료품 공급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정부의 긴급한 개입이 없으면 앞으로 혼란이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북아일랜드 협약’에 따라 영국 영토지만 EU 단일시장에 남기로 한 북아일랜드로 건너가는 영국 본토 식료품에 대해 비록 3개월간 유예기간(grace period)을 적용하기로 했지만 새로운 절차로 신선식품 공급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일부 북아일랜드 지역 슈퍼마켓에선 신선식품 냉장고가 텅 빈 모습이 나타나기도 했다.

이안 라이트 영국 의약품건강관리제품규제청(MHRA) 청장은 “향후 6~9개월간 공급망에 대한 재구조화 작업이 진행될 것”이라며 “단기적으로는 비용과 시간이 낭비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했다.

고브 국무조정실장은 해결책을 마련하겠다고 즉각 약속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13일(현지시간) 영국 하원에 출석해 영국 본토와 북아일랜드 간 교역이 원활히 이뤄지고 있다면서도, 향후 문제가 발생하면 영국이 일방적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북아일랜드 협약 16조 발동을 주저하지 않겠다고 말하고 있다. [로이터]

보리스 존슨 총리도 이날 하원에 출석한 자리에서 영국 본토와 북아일랜드 간 교역이 원활히 이뤄지고 있다면서도, 향후 문제가 발생하면 영국이 일방적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북아일랜드 협약 16조 발동을 주저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