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文대통령, 반복되는 한일 역사갈등 속 “CPTPP 가입 검토”
“한일관계, 미래지향적 발전 위해 계속 노력”
대중문화 콘텐츠 등 공공문화외교 띄우기도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청와대에서 신년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헤럴드경제=문재연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새해 국정운영 방향을 밝힌 자리에서 일본 주도의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에 가입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중견국가로서 역내 협력 및 다자적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데 주도하겠다는 구상도 내비쳤다.

문재인 대통령은 11일 오전 10시 전 국민 생중계로 진행된 신년사에서 “CPTPP가입을 적극 검토하겠다”며 “한일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해서도 계속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강제징용 대법원 판결과 일본군 위안부 손해배상소송 1심 판결로 교착상태에 빠진 한일관계를 의식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대일외교 전략으로 ‘역사문제와 외교관계를 구분해 접근한다’는 투트랙 전략을 고수해왔다.

문 대통령은 2021년 외교전략으로 ‘다자주의’와 ‘공공문화외교’를 내걸었다. 문 대통령은 “우리 문화예술의 창의력, 자유로운 상상력은 민주주의와 함께 더 다양해지고 더 큰 경쟁력을 갖게 됐다”며 “문화예술인들이 마음껏 창의력과 ‘끼’를 발휘할 수 있도록예술창작 활동을 지원하고, 한류 콘텐츠의 디지털화를 촉진하는 등 문화강국의 위상을 더욱 확실하게 다져나가겠다”고 말했다. 또 “우리의 검증된 보건의료 역량과 높은 시민의식, 우수한 문화 역량과 디지털기술의 발전, 탄소중립 사회의 의지, 높아진 국제사회에서의 역할과 위상을 통해 대한민국은 소프트파워에서도 책임 있는 선도국가의 길을 당당하게 걸어갈 것”이라며 공공외교적으로 한국의 지위를 강조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다자주의 협력방안에 대해서는 “RCEP, 한-인도네시아 CEPA에 이어 필리핀, 캄보디아, 우즈베키스탄과의 FTA에 속도를 높여 신남방·신북방 국가들과의 교류와 협력을 넓히겠다”고 밝혔다. 양자 현안으로는 “중국, 러시아와 진행 중인 서비스 투자 FTA, 브라질, 아르헨티나를 비롯한 메르코수르, 멕시코 등 태평양 동맹과의 협상을 가속”하겠다고 했다.

munja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