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전복’ 제주어선 이틀째 수색에도 구조 소식은 ‘깜깜’
해경, 특전사 등 935명 인력으로 육상 수색
함선 9척·헬기 1대 투입해 해상 수색도 병행
악천후로 구조 난항…‘골든타임’ 12시간 넘겨
높은 파도·눈보라로 구조대원 2명 부상
지난 29일 오후 7시44분께 제주항 북서쪽 약 2.6㎞ 해상에서 7명이 승선한 어선 32명민호(39t)가 전복돼 해경이 구조 작업을 하고 있다. [제주해양경찰청 제공]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 제주 해상에서 전복된 저인망어선 32명민호(39t) 선원 7명에 대한 수색·구조작업이 악천후로 이틀째 난항을 겪고 있다.

해경과 해군 등으로 구성된 수색팀은 제주항 인근 해상과 육상에서 선원들을 수색·구조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실종 선원을 찾지 못하고 있다.

30일 제주해양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29일 오후 7시 44분께 제주항 북서쪽 2.6㎞ 해상에서 제주시 한림 선적 저인망어선 ‘32명민호’가 전복됐다는 신고가 제주해경청 상황실로 접수됐다.

32명민호는 제주 서귀포시 성산항에서 출항한 지 불과 3시간여 만에 사고를 당했으며, 선장 김모(55) 씨를 비롯해 한국인 선원 4명과 외국인 선원 3명 등 모두 7명이 타고 있었다.

해경은 사고 신고를 접수 후 함정 8척, 민간 어선 1척, 헬기 1대를 동원해 수색·구조작업을 시작했다.

제주해경 헬기가 같은 날 오후 9시8분께 제주항 북서쪽 1.6㎞ 해상에서 32명민호를 발견했다. 이어 구조대원이 9시 21분께 사고 어선에 올라타 선체를 두들기며 타격 시험을 했고, 선내에서 생존 반응이 있는 것을 확인했다.

해경은 전복 어선의 침몰을 막기 위해 리프트백(배에 부력을 더해주는 공기 주머니)을 여러 개 설치하고, 잠수 장비를 착용한 구조대원을 투입해 8차례 이상 선내 진입을 시도했으나 높은 파도와 강풍 때문에 실패했다.

기상청과 해경 등에 따르면 사고 해역의 수온은 15~17도 정도다. 해경은 이 수준의 수온에서 실종자들이 생존 가능한 ‘골든타임’을 12시간 정도로 추정하고 있는데, 이미 전복 이후 12시간을 훌쩍 넘긴 상황이다.

게다가 이날 오전 3시47분께 32명민호가 높은 파도에 밀려 제주항 방파제에 부딪혀 파손되는 과정에서 생존자들이 부상을 입었을 경우 생존 가능성은 더욱 희박해진다.

해경은 해경, 소방관, 특전사 등 총 935명을 총동원해 제주시 사수포구부터 삼양동 해안가까지 육상 수색에 집중하고 있으나, 실종된 선원을 찾지 못하고 선체 잔해물 일부만 인근 해안에서 발견했다. 해상에서는 제주항 중심으로 동서 약 6.1㎞, 남북 5.9㎞ 부근을 정밀 수색 중이다.

현재 사고 해역의 기상 상황은 좋지 않다. 제주 전역에 강풍특보가 발효됐고, 제주 전 해상에 풍랑경보가 발효 중인 상태로, 사고 해역에 4~5m의 안팎의 높은 파도와 강한 눈보라가 일고 있다. 이로 인해 구조대원 2명이 부상을 당하고 고속단정 2척이 침수되는 등 수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해경 관계자는 “사고 원인은 기상 불량으로 인한 전복으로 추정된다”며 “빠른 시일 내 실종자를 찾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sp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