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인 癌 사망률 1위 폐암…조기진단 ‘新 바이오마커’ 나온다!
- 울산의대 이창환 교수, 폐암 조기진단 및 5년 생존률 예측 새 단백질 발굴
MRI 검사 장면.[헤럴드경제DB]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엑스레이나 CT, 자기공명촬영장치(MRI) 등 의존도가 높아 조기진단률이 20%에 불과한 폐암의 조기진단을 가능케 할 새로운 바이오마커가 발굴됐다.

폐암은 한국인 암 사망률 1위로 꼽히지만 조기발견시 생존률이 80%로 높다. 하지만 초기에 특별한 자각증상이 없는데다 조기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가 드문 실정이다.

바이오마커란 몸 속 세포, 혈관, 단백질, DNA, RNA 등을 이용해 몸 안의 변화를 알아내는 생화학적 지표를 말한다.

한국연구재단은 울산의대 이창환 교수 연구팀이 폐암 진단 및 5년 생존률을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단백질을 발굴했다고 20일 밝혔다.

기존에도 혈액 내 존재하는 특정 단백질, 즉 바이오마커의 농도차이를 통해 폐암을 진단하려는 시도는 있었지만 폐암 특이성과 민감성이 충분하지 못해 조기진단의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팀은 104명의 폐암환자의 폐암조직과 정상조직에서 유의미한 농도차이가 나타나는 단백질을 찾아내고자 했다. 단백질 프로파일링 결과 트림28(TRIM28) 이라는 단백질이 폐암조직에서 확연히 농도가 높은 것을 알아냈다.

실제 트림28이 많이 만들어지도록 조작한 세포모델과 생쥐모델에서 폐암의 증식이나 이동이 심해지는 것을 확인했다.

생체단백질은 생성과 분해를 반복하며 순환하는데, 작은 표지(유비퀴틴)을 달아 분해시스템으로 직행할 단백질을 구분한다.

트림28은 이 과정에서 표지를 달아주는 역할을 하는 단백질로, 연구팀은 트림28로 시작해, RLIM-MDM2-p53으로 이어지는 순차적 표지달기 과정을 밝혀냈다.

특히 폐암환자 101명의 조직샘플을 이용해 트림28과 RLIM 단백질과 5년 생존률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트림28 발현양이 높고, RLIM의 발현양이 낮은 환자들의 5년 생존률이 확연히 낮은 것을 알아냈다.

정상폐와 폐얌에서의 트림28-RLIM-MDM2-p53의 연속조절 매커니즘 모식도.[울산의대 제공]

연구팀은 폐암의 조기진단을 위한 생화학적 지표이자 5년 생존률 예측을 위한 인자로 트림28과 RLIM을 이용하기 위해 향후 임상적 적용을 할 예정이며, 아울러 트림28과 RLIM을 조절할 수 있는 후보물질 발굴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성과는 세포생물학 분야 국제학술지 ‘세포 사멸 및 분화’ 12월 17일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