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3단계 문턱’ 위기 닥친 K-방역…950명 확진에 병상·의료진 위기
사회적 거리두기 무색…3차 대유행 기록 경신
병상ㆍ의료진 ‘부족’…확진자 급증에 대처 미흡
정부, 집중 검사기간 선포…선제적 검사 나서

[헤럴드경제=유오상 기자]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를 2.5단계로 강화하며 방역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코로나19 확산세는 오히려 더 커지는 모양새다. 진정되지 않는 신규 확산세에 지난 11일 하루 동안에만 950명의 추가 확진자가 발생했다.

12일 방역당국에 따르면 전날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모두 950명으로, 이날까지 총 확진자 수는 4마1736명을 기록했다. 전날 689명이 추가 확진된 것과 비교해도 30% 가까이 늘어난 수치로, 당장 국내 추가 발생 확진자만 928명을 넘어섰다.

지난달 초까지만 해도 100명 안팎에 달했던 일일 신규 확진자 수는 당장 다음 주 1000명을 넘어설 수 있다는 부정적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정부가 강조해온 '사회적 거리두기'(수도권 2.5, 비수도권 2단계)가 사실상 효과가 없는 셈이다. 실제로 방역당국은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격상하며 “효과가 10일 정도 지나 나타날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확진자 수는 오히려 폭증하는 모양새다.

이 같은 확산세에 대해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전날 브리핑에서 "지금의 확산세를 꺾지 못하면 다음은 사회활동의 '전면제한'을 뜻하는 3단계로의 상향조정 외에는 다른 선택 방법이 없다"면서 "이는 지금까지와는 비교할 수 없는 큰 사회·경제적 피해를 남기게 되는데 지금이 이를 막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인 만큼 거리두기 노력에 최선을 기울여 달라"고 강조했다.

확진자가 늘며 이들을 치료할 병상과 의료진도 위기에 닥쳤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현재 중환자가 즉시 입원 가능한 병상은 전국 52개, 수도권에는 8개가 남아있다. 정부는 연말까지 전국 121개, 수도권 84개를 더 확보하겠다는 계획이지만, 당장 오늘이 문제가 됐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은 전날 정례브리핑에서 "지난 8월 수도권 확산세로 중환자 병상이 부족했지만, 그 이후 병실을 확충해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고 있다"면서도 "문제는 고도로 훈련된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무한대로 (중환자실을) 계속 확대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좀처럼 꺾이지 않는 확산세에 정부는 오는 14일부터 3주 동안을 '집중 검사 기간'으로 정하고 선제적 무료 검사를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이는 이번 대유행의 중심지인 수도권에서 먼저 전파 고리를 끊어야 확산세를 잡을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정부는 유동 인구가 많은 서울역과 용산역, 주요 대학가, 집단감염 발생 지역을 중심으로 약 150개의 임시 선별진료소를 단계적으로 설치키로 했다. 해당 진료소에서는 코로나19 의심 증상 없이도 누구나 무료로 진단검사를 받을 수 있다.

감염병 전문가들은 그동안 국내 진단 검사 건수가 해외와 비교해 적은 수준이라며 '방역 그물망'을 넓히는 차원에서 검사 건수를 대폭 늘려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지난 10일 유튜브 방송을 통해 "진단 검사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다 보니 감염된 환자를 (조기에) 찾지 못하면서 이 환자가 다시 감염원이 되는 악순환을 막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osy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