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개도국 "면제해야" vs 선진국 "반대"…코로나 백신 지식재산권 갈등
[연합]

[헤럴드경제]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의 지식재산권을 두고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간 갈등이 표면화하고 있다.

개도국은 백신 생산을 늘리기 위해 지식재산권 면제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제약 대기업을 보유한 선진국은 반대하고 있다.

AFP 통신에 따르면 10일(현지시간) 인도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세계무역기구(WTO)의 지식재산권협정(TRIPS) 회의에서 코로나19 백신의 지재권 면제를 요청했다.

이들은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과 싸우기 위해서는 백신을 포함한 코로나19 의약품에 대한 지식 공유 및 생산 확대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세계보건기구(WHO)와 국경없는의사회(MSF) 역시 이를 지지하고 있다.

이날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지재권 면제가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등을 부담 없는 가격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리나 멘가니 MSF 남아시아 의약품접근캠페인 대표는 인도와 남아공을 비롯해 방글라데시, 브라질, 태국, 일부 남미 국가에서 관련 의약품을 생산할 수 있다며 “이러한 계획은 능력을 갖춘 많은 개도국에서 생산을 증가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지했다.

그러나 제약 대기업과 이를 지닌 선진국은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토마스 쿠에니 국제의약품제조사협회연맹 회장은 지재권은 코로나19 대응 도구를 개발하는 데 “강력한 비즈니스 혁신 모델”이라며 “지재권 시스템이 없었다면 치료제나 백신을 빠르게 개발할 기회가 없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폴 스토펠스 존슨앤드존슨의 최고 과학책임자도 “기술과 역량을 다른 곳에 이전하는 것을 시작하기 전에 우리는 기술을 안정화하고 내년에 (백신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과 유럽연합(EU), 일본 등 선진국도 WTO 비공식 회의에서 이 같은 입장을 피력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WTO는 해당 안건을 오는 16∼17일 열리는 일반 이사회에서 논의할 예정이다.

heral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