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못 막으면 의원직 총사퇴”…野, 연대·장외투쟁에 일각 ‘배수진’ 목소리도
與 ‘임대차3법’ 내준 상황 오버랩 돼
작년에도 거론 ‘폭주’ 막는 최후수단
우선 필리버스터 등 여론전에 집중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의 공수처법 강행처리와 관련한 긴급기자회견을 하기 위해 기자회견장에 들어서고 있다. [이상섭 기자/babtong@heraldcorp.com]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 국민의힘 일각에서 ‘의원직 총사퇴’ 카드가 거론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이 야당 비토권을 없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법 개정안과 일명 ‘공정경제 3법’ 등을 밀어붙이는 데 대해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를 넘어 직(職)을 걸고 막아야 한다는 말이 나온다.

국민의힘의 한 초선 의원은 9일 통화에서 “여당이 야당 의원들을 들러리고 취급하는데도 우리는 수 싸움에 밀려 무기력히 당할 수밖에 없다”며 “믿을 이가 국민 뿐이라면 국민에게 울림을 줄 수 있는 결단을 고민해야 한다. 직에 연연하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주는 방안을 고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영남을 지역구로 둔 다선 의원은 “특히 공수처는 세워지는 즉시 야당 의원들을 정조준한 친위대가 될 가능성이 크다”며 “우리가 (공수처에)당하기 전 먼저 내려놓을 수 있는 것은 모두 내려놔야 한다”고 했다.

이와 관련, 주호영 원내대표는 이날 라디오에서 “(여당에서)이런 식으로 나오면 야당 의원들은 있을 이유가 없다”며 “밀실에서 법 절차를 어기고 반대토론도 없이 밀어붙인다면 우리들은 의원을 할 의의를 찾을 수 없다”고 토로했다.

다만 주 원내대표는 투쟁 방안에 대해선 의원직 총사퇴까지는 거론하지 않고, 필리버스터 등 여론전에 더 집중하는 동시에 장외투쟁의 방법도 논의하겠다고 했다. 국민의힘은 다음 날 국민의당, 각계 시민사회단체 대표자와 함께 모이는 ‘정당·시민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에도 참석한다. 주 원내대표는 “‘정치 방역’ 안에서 국민의 성난 민심을 어떻게 전달할지 방법을 찾겠다”고 했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의 공수처법 강행처리와 관련한 긴급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상섭 기자/babtong@heraldcorp.com]

앞서 국민의힘은 올해 중순 민주당이 ‘임대차 3법’으로 독주를 이어가던 과정에서 무기력한 모습을 보였다.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와 안건조정위원회는 신청도 하지 않고, 의원직 총사퇴는 논의조차 하지 않았다.

야당에선 여당의 폭주를 막는 최후 수단으로 의원직 총사퇴가 언급되곤 했다. 현실화를 떠나 직을 걸겠다는 ‘야성’을 보여주자는 차원이었다. 지난해 말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은 민주당이 예산안에 이어 선거법 개정안과 공수처 설치법 등을 밀어붙일 때도 의원직 총사퇴 이야기가 거론됐다.

야권 관계자는 국민의힘이 이번에는 보다 강경한 태도를 취하는 데 대해 “임대차 3법에 앞서서는 민주당 책임론을 띄우려고 소극적 움직임을 보인 것 같지만, 되레 야당 무용론이 불거지자 태세를 바꾸려는 듯하다"고 평가했다.

다만 정치권은 국민의힘이 실제로 의원직 총사퇴에 나설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당 안에서는 민주당에 ‘개헌선’(재적 의원 3분의 2)을 확보할 수 있는 빌미를 줄 수 있다는 불안감도 적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고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국민의힘은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의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 사과 건으로 인해 핵심 사안에서 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상황도 아니다”며 “연말까지 혼란이 이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했다.

yu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