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시, 5G 융합 자동차 커넥티드 서비스 시작
위험상황 알려주는 24개 교통안전서비스 실시
운전자 부주의 교통사고 30% 이상 감소 기대
C-ITS는 차세대지능형교통시스템으로 V2X 인프라 등 도로 및 차량 환경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헤럴드경제=최원혁 기자] 서울시가 자율주행에 필수적인 자동차 커넥티드 서비스를 시작한다.

서울시는 버스 1600대, 택시 100대 등 총 1700대의 차량을 대상으로 세계 최초이면서 대규모 차량들에 적용되는 ‘C-ITS 기반 5G 융합 자동차 커넥티드 상용화 서비스’ 시작을 알렸으며 우선 올해 안에 버스 1000대부터 해당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시행 할 예정이다.

지금까지 Wifi 방식의 WAVE(차량무선통신망)를 이용한 커넥티드 서비스 실증은 국내외에서 이뤄졌으나 WAVE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상용화한 5G 이동통신 기술이 융합된 자동차 커넥티드 서비스 구현은 서울시가 처음이다.

우선 시는 5G + WAVE 등 모든 통신망을 통해 전방 교차로의 신호등 색상, 앞으로 녹색등이 몇 초 남아있는지 등 초단위로 잔여시간까지 안내하는 전방 교통신호 알림 및 위반 경고 서비스를 구현했다.

또 도로 위험구간에 설치된 딥러닝 영상카메라를 통해 ▷무단횡단 보행자 ▷터널내 사고 ▷불법주정차 차량 ▷커브구간내 정지차량 등을 24시간 검지해 5G를 통해 차량에 미리 알려주는 등 도로위험 사전 예고 서비스와 함께 ▷전방추돌주의 ▷차선이탈 등 위험상황을 알려주는 총 24개의 자동차 커넥티드 기술 기반 교통안전서비스를 시작한다.

특히 C-ITS 실증사업의 목표인 버스 등 대중교통 사고 예방을 위해 커넥티드 기술을 활용해 중앙버스전용차로 구간의 교통안전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는 대중교통(버스) 특화 교통안전서비스를 세계 최초로 시작한다.

시가 시작하는 C-ITS 기반 5G 융합 커넥티드 기술은 지금까지의 차량과 차량(V2V·Vehicle to Vehicle), 차량과 인프라(V2I·Vehicle to Infra) 연결을 넘어 5G 상용망을 활용해 차량과 사람(V2P·Vehicle to Pedestrian) 상호간에 위험정보를 교환해 보행자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등 차량과 모든 것(V2X·Vehicle to Everything)을 연결하는 기술이다.

시는 이러한 교통안전을 지원하는 자동차 커넥티드 기술로 운전자 부주의로 유발되는 교통사고가 30% 이상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C-ITS 기반 5G 케넥티드 서비스 시연 모습. [서울시 제공]

아울러 서울시는 차량에 장착된 교통안전비전센서(ADAS)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도로영상을 분석해 도로함몰(포트홀), 라바콘(도로공사)을 검지하고 이를 주변차량에게 전달하는 도로위험을 사전에 안내하는 기술도 선보인다.

해당 기술은 시가 과거 도로상에서 발생한 2만3000장 이상의 도로함몰(포트홀) 사진을 제공하고, SK텔레콤에서 7개월 이상 인공지능(AI) 기반 딥러닝 학습을 거쳐 공공과 민간의 협업을 통해 탄생했다.

시는 서울시 버스(1600대) 및 택시(100대)에 교통안전비전센서를 장착하고 도로상에서 발생하는 도로함몰(포트홀), 공사장(라바콘) 등의 위치를 자동으로 찾아 주변차량과 민간 네비게이션 등에 제공해 운전자들이 도로 위험을 사전에 피할 수 있도록 지원 할 예정이다.

황보연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서울은 현재 세계 최고의 대중교통 도시에서 5G 융합 커넥티드 기술, 자율주행, 무인드론택시, 퍼스널모빌리티 등을 가장 앞서 상용화시켜 세계시장에 표준을 선도하는 미래 모빌리티 플랫폼 혁신 도시로 발전할 것”이라고 했다.

choig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