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中, 분주한 동북아 외교전…美 대선 후 패권경쟁 포석
비건, 곧 마지막 방한…한반도 관리 초점
왕이, 韓日 방문…바이든 동맹 중시 견제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부장관 겸 대북특별대표가 내달 초 한국을 찾을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9월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한 최종건 외교부 1차관이 비건 부장관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외교부 제공]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오는 25~27일 방한한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왕 부장이 지난 2019년 유엔총회 참석 계기에 만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외교부 제공]

미국 대선 이후 국제정세가 큰 전환기에 접어든 가운데 동북아 외교전도 분주해지고 있다. 특히 첨예한 패권경쟁을 벌이고 있는 미국과 중국의 수읽기가 한창인 모습이다. 미국은 정권교체 속 상황관리에 치중하는 모습이고, 중국은 한미·한일동맹과 한미일 공조를 강조하는 조 바이든 당선인을 견제하려는 듯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 내년 1월 제8차 노동당 당대회를 예고한 북한이 어떤 결정을 내리느냐에 따라 동북아정세는 한층 더 꼬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먼저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24일부터 27일까지 일본과 한국을 순차적으로 방문한다. 바이든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한중·중일관계 관리 포석이란 해석이 나온다. 왕 부장은 24일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과 회담을 갖고 스가 요시히데 총리를 면담할 것으로 알려졌다.

25일 일본을 떠나 한국을 찾는 왕 부장은 방한 기간 강경화 외교부장관과 회담을 갖고 청와대 국가안보실 관계자도 만날 것으로 알려졌다. 한중 양국은 왕 부장 방한 계기에 시진핑 국가주석의 연내 방한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한중정상회담이 성사된다면 북한의 차기 미 행정부 관심끌기와 협상력 제고 차원의 고강도 무력시위 제동 등 한반도정세 관리에 적잖은 보탬이 될 전망이다. 다만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이 ‘3차 유행’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걸림돌이다.

이런 가운데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부장관 겸 대북특별대표도 내달 초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방문 일정을 조율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부장관으로서 마지막이 될 그의 한국 및 아시아 방문 역시 한반도의 안정적 상황 관리에 초점이 맞춰질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내년 1월20일 막을 내리는데다, 북한이 제8차 당대회를 앞두고 외부메시지를 일체 중단한 채 암중모색에 돌입했기 때문이다. 비건 부장관 방한 때마다 불거지곤 했던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 등과의 북미접촉설도 사라졌다.

비건 부장관은 지난 주 더불어민주당 한반도 태스크포스(TF) 소속 의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북미대화의 경험과 교훈이 다음 행정부까지 이어지고 향후 북미협상이 지속해서 충실히 진행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로버트 오브라이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한반도 비핵화 약속 이행을 촉구하고 나선 것 역시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오브라이언 보좌관은 23일(현지시간) 언론과의 전화기자회견에서 “김 위원장이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약속을 지키길 바란다”면서 “이는 한국과 미국뿐 아니라 북한에게 엄청난 진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의 미 정권교체기 도발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었다. 미 정권 교체와 상관없이 북한의 비핵화 약속 이행과 도발 자제를 촉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오브라이언 보좌관은 또 한미동맹과 관련해서도 “내년 1월20일 어떤 일이 일어나든, 누가 대통령이 되든, 지난 70년간 지속된 한미관계가 계속 이어질 것이고 강력한 파트너십을 이룰 것”이라면서 “이 자체가 북한에 주는 메시지가 있다”고 강조했다. 신대원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