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조기에 자폐증 진단하는 ‘AI’ 나온다
ETRI, 조기선별 AI 기술 개발
발달장애아동 빠른 치료 가능
ETRI 연구진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선별을 위해 개발 중인 ‘영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유도 콘텐츠’를 시연하고 있다. [ETRI 제공]

국내 연구진이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영유아·아동의 발달장애 조기선별을 위한 행동·반응 심리인지 AI 기술’을 개발 중이라고 19일 밝혔다. 현재는 개발 초기 단계로 요소 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상태다.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사회적 의사소통과 상호작용 기술이 부족한 특징을 포착하고, 반복적인 행동 특성을 분석해 발견할 수 있다. 특히 조기에 치료받으면 경과가 좋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전문인력 부족, 인식의 부재, 시간과 자원의 문제 등으로 증상 발견에서 실제 진단에 이르기까지는 2~9년이 소요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자폐 증상이 대부분 생후 12~24개월 사이, 심지어 12개월 이전에도 나타난다는 점에서 빠르게 발견하고 대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셈이다.

이에 연구진은 자폐스펙트럼장애의 다양한 패턴을 활용, 실시간 촬영 영상을 서버에서 전송받아 자동 분석하며 증상을 찾아낼 수 있는 언택트 인공지능 연구를 수행 중이다.

이 기술의 핵심 요소는 사회적 상호작용 과정 중에서 표현되는 영유아의 시선·표정·몸짓·발성특성 등 비언어적 반응, 언어행동 패턴, 반복적인 행동 특성 등을 인지하고 분석하는 복합 인공지능 기술이다.

이를 활용하면 유아원이나 보육시설, 발달증진센터, 일반가정 등에서도 영상을 촬영해 보다 쉽게 발견할 수 있어 증상의 조기 파악이 가능케 된다.

이와 관련 ETRI 연구진은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서울 센터에 자폐스펙트럼장애 선별을 위한 리빙랩(Living Lab)을 구축했다.

연구진은 향후 5년간 공동연구기관과 협력을 통해 리빙랩 등에서 발달상황을 점검하고 싶은 영유아를 대상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관찰 검사와 함께 관련 데이터를 수집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실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반영하고 개발된 결과물을 지속적으로 현장에서 검증, 정확도를 높여 기술의 실효성을 더하고 보급 및 확산을 앞당길 계획이다.

또한 연구진은 세계 최초로 자폐스펙트럼장애 검사용 ‘영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유도 콘텐츠 기술’도 개발하고 있다.

유희정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조기에 발견해 의학적인 조치를 취하면 비록 완치는 못 해도 예후를 좋게 해 가족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구본혁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