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바이든 “인도·태평양” 언급하자…中 ‘시진핑 연내 방한’ 급물살
中 시진핑, 이르면 다음 달 초순께 방한 논의
바이든 ‘反中’ 발언 이어지자 韓 놓고 대응 모양새
靑, 논란에 “단순히 지역 언급했을 뿐…” 직접 해명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연합]

[헤럴드경제=유오상 기자] 사실상 연내 성사가 어려울 것으로 점쳐졌던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한중 양국은 이르면 다음 달 초순께 한국을 방문하는 쪽으로 논의를 진행 중인데, 같은 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문재인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인도·태평양’을 언급하는 등 중국을 겨냥한 발언을 한 것과 맞물려 한국을 둘러싼 미중 간 긴장이 다시 고조되는 모양새다.

13일 복수의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한국과 중국 외교당국은 시 주석의 방한을 이르면 다음 달 초순께 성사시키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한 중국 측 외교 소식통은 “논의가 한동안 진전을 보지 못하다가 최근 중국이 적극적으로 시 주석의 방한 문제를 꺼내며 연내 방한 논의가 진행됐다”며 “한국과의 관계 강화를 위해 시 주석의 조기 방한이 중요하다는 판단을 한 것 같다”고 했다.

실제로 중국 내에서는 최근 한국이 시 주석의 방한 논의에 소극적이라는 불만까지 내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우장하오(吳江浩) 중국 외교부 아시아지역 담당 부장조리와 만난 장하성 주중대사는 관련 언급이 나오자 “중국과의 고위급 교류를 강화하기를 원한다”고 답하기도 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시 주석의 방한 시점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면서도 “한국과 중국은 코로나19 상황이 안정되고 여건이 갖춰지는 대로 시 주석의 방한을 조기에 성사하도록 하자는 공감대를 바탕으로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시 주석의 방한 논의가 급물살을 타게 된 것은 바이든 당선인이 중국에 대한 전방위 견제에 나섰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바이든 당선인은 전날 문 대통령과의 첫 전화 통화에서 “인도 태평양의 안보와 번영을 위한 한미 간 협력”을 강조했다. 사실상 반(反)중국 외교 전략인 ‘인도·태평양 전략’을 언급하며 한국의 참여를 우회적으로 압박한 셈이다.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한국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상황에서 중국 역시 시 주석의 방한으로 한국에 대한 외교적 압박에 나서겠다는 의도다.

한국을 둘러싼 미중 간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이 연출되자 해명에 나선 것은 청와대였다. 청와대는 바이든 당선인이 인도·태평양 전략을 언급하며 중국 견제 의도를 보였다는 분석에 대해 직접 “반중 전선과 관련된 뉘앙스의 언급도 없었다”고 강조했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바이든 당선인은 ‘인도·태평양의 안보와 번영’을 언급했다. ‘인도·태평양’은 해당 지역을 지리적으로 표현한 것이지 ‘인도·태평양 전략’과는 무관하다”며 “‘핵심축(linchpin)’은 미국이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표현 이외의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했다.

그러나 외교가에서는 바이든 당선인이 직접 인도 태평양 지역 안보를 언급한 데다가 같은 날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와의 통화에서 센카쿠 열도 방위 공약을 재확인하는 등 중국을 의식한 발언을 이어가는 상황에서 청와대가 중국을 과도하게 의식해 직접 해명까지 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이라는 기본 입장 아래 사안별 외교적 대응은 계속될 것”이라며 “바이든 행정부가 대(對)중국 강경책을 쓸 수 있다는 예측은 이미 많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비 시나리오 역시 정부는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다.

osy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