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바이든, “文과 통화에서 인도·태평양 ‘린치핀’으로 한미동맹 강화 기대”
바이든 “文대통령 코로나19 리더십·북한문제 협력” 언급
바이든, 文대통령 통화 앞서 한국전 참전기념비 찾아 헌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11일(현지시간) 재향군인의 날을 맞아 부인 질 바이든 여사와 함께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 자리한 한국전 참전기념비를 찾아 헌화했다. [로이터]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한국과 미국이 조 바이든 신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기분 좋은 첫발을 내딛었다.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은 12일 오전 첫 전화통화를 가졌고, 바이든 당선인은 11일(현지시간)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 자리한 한국전 참전기념비를 찾았다.

문 대통령과 바이든 당선인은 이날 오전 9시부터 14분간 통화를 가졌다. 문 대통령은 “한미동맹의 미래지향적 발전과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 정착을 위해 긴밀히 소통하자”고 밝혔고, 바이든 당선인은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말했다고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바이든 당선인 측은 통화 뒤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인도·태평양지역 안보와 번영의 핵심축(linchpin·린치핀)으로써 한미동맹 강화 기대를 표시했다고 밝혔다. 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응한 문 대통령의 강력한 리더십을 언급하면서 전염병 대처와 글로벌 보건 안전, 글로벌 경기 회복에서 협력을 약속했다. 특히 북한문제부터 기후변화까지 다른 도전과제에서도 문 대통령과 협력을 고대한다고 밝혔다.

바이든 당선인이 통화에 앞서 한국전 참전기념비를 찾아 헌화했다는 점도 눈길을 끈다. 재향군인의 날 계기라고 하지만, 6·25전쟁 기간 전사하거나 실종된 참전용사 622명을 기리고 태극기와 성조기가 나란히 게양된 한미동맹을 상징하는 장소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역시 재향군인의 날을 맞아 버지니아주에 위치한 알링턴 국립묘지를 찾은 것과도 비교된다.

이성우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내부적으로 국가지도자상을 부각시키기 위한 국내정치적 함의가 크지만 한미동맹을 강조한 메시지이기도 하다”며 “나가는 권력이 통상적으로 알링턴 국립묘지를 찾았는데 새로 올 권력이 한국 관련 장소를 찾았다는 것은 긍정적 신호”라고 분석했다.

한미가 평행을 달리는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협상 등을 둘러싼 잡음도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바이든 당선인이 한미동맹을 ‘린치핀’으로 표현한 것은 트럼프 행정부보다 한국과 긴밀한 협력을 취할 것임을 예고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브로맨스’를 과시해온 트럼프 대통령의 퇴장으로 일각에서 우려가 제기되는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측면에서도 부정적이지만은 않은 기류다. 바이든 당선인은 북한을 언급하면서 취임 이후 한국의 관심을 반영해 한반도문제를 중요한 과제로 다룰 것임을 예고했다.

한편 청와대는 이날 문 대통령과 바이든 당선인 간 통화에 앞서 서훈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 회의를 열고 미 대선 관련 동향과 굳건한 한미동맹에 기반한 한반도 평화 정착과 비핵화 달성 방안을 논의했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