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시나브로 커진 尹…여 “秋 장관 때문” 야 “결국은 우리편”
민주당 “야권 인물 없다는 반증”
한계론부터 보수결집 우려론까지
국민의힘, 적폐청산 지휘 앙금속
보수 1위·지향점 비슷 딜레마

윤석열 검찰총장 대망론에 여야는 민감하게 반응하기 시작했다. 급부상을 평가절하하면서도 경계하는 여당과 그가 우리편인지조차 헷갈리는 야당 모두 윤 총장의 영향력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 사이에선 윤 총장의 지지율을 보는 시각이 엇갈린다. 12일 한 초선 의원은 “(윤 총장의) 언론 노출이 계속 되면서 거품처럼 인기가 잠깐 오른 것이지, 이를 확대 해석할 필요가 전혀 없다”면서도 “당 내에서 윤 총장의 지지율을 예의주시하는 부분은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의원도 “아무리 윤 총장이 대권 욕심이 있다고 해도 검증대에 오르면 여러가지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며 대망론을 일축했다.

당 내에선 윤 총장의 급부상이 야당에서 비롯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 재선 의원은 “야권 대권주자로 야당 인사가 아닌 검찰총장이 거론되는 것은 결국 야당에 인물이 없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 아니겠느냐”며 “야당에서 대안 인물이 나오면 윤 총장의 지지율은 곧바로 떨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일부는 윤 총장의 대망론이 보수층의 결집을 강화할 수 있다는 우려 섞인 전망도 내놨다. 여권 한 관계자는 “야권의 대권 인물이 없어서 지지층의 결속력이 약했던 상황에서 윤 총장의 급부상이 이들의 결집을 주도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추 장관의 거침없는 맹공이 윤 총장의 존재감을 불필요하게 키웠다는 점도 뼈아프다. 민주당 지도부가 추 장관 측에게 언행을 조심해달라는 요청을 전달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당 관계자는 “추 장관이 각종 돌발 발언으로 윤 총장과 각을 세우면서 오히려 (윤 총장의) 대중 인지도를 높여준 측면이 있다”며 “검찰개혁보다 두 사람의 싸움이 부각되는 것 같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국민의힘도 마찬가지다. 다수의 국민의힘 의원들은 윤 총장이 정부여당에 맞설 ‘잘 드는 칼’로 정계 진출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데 뜻을 모았다. 하지만 그가 어느 진영에 몸 담을지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렸다.

김종인 비대위원장은 이날 당 회의에서 “윤 총장 이 정부에 소속된 검찰총장인데 어떻게 이런 현상이 될 수 있겠냐” 반문하며 현 정부의 실정에 따른 반작용임을 강조했다.

윤 총장이 결국 국민의힘과 손 잡을 것으로 보는 의원들은 모두 ‘조직’을 이유로 꼽았다. 국민의힘은 전통적으로 율사(律士)색이 짙다. 의원과 당 소속 핵심 인사 중 상당수가 판·검사와 변호사 출신이어서 정치 기반 없는 윤 총장이 ‘라인’을 만들기에 최적 조건이란 것이다.

한 초선 의원은 통화에서 “검찰은 혼자서도 권한이 크지만, 정치 영역에선 조직이 없다면 행동 반경의 제약이 크다”며 “가장 큰 물을 찾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윤 총장과 국민의힘의 지향점이 비슷한 것도 야권에서 ‘우리편’으로 보는 이유다. 윤 총장은 인사청문회 때 정치권의 예상보다 더욱 보수적인 성향을 내보였다. 그는 국회에 낸 서면 답변서 중 정치 성향을 묻는 질의에서 “급진적 변화보다 점진적 변화를 중시한다”고 했다. 우리나라 주적이 어디 있느냐는 물음에는 바로 “북한”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반면 윤 총장의 합류 가능성을 낮게 보는 의원들은 그와 몇몇 국민의힘 인사들 간 남아있는 앙금을 거론했다. 윤 총장은 문재인 정부의 출범 직후 서울중앙지검장을 꿰차 이명박·박근혜 정부 당시의 이른바 ‘적폐청산’수사를 진두지휘했다.

한 중진 의원은 “윤 총장을 여전히 문 정부 탄생의 1등 공신으로 보는 인사들이 있다”고 귀띔했다. 당내 최다선(5선)인 정진석 의원은 통화에서 “정치에 뜻이 있는지도 짐작하기 힘든 상황”이라며 “현직 검찰총장이어서 논평하는 것 자체가 조심스럽다”고 했다.

이현정·이원율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