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전국 전셋값 13개월 연속 상승세…서울·인천서 월세도 ‘들썩’
상승폭 둔화, “추석연휴·방역강화 등 고려”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전국의 주택 전셋값이 13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전세시장의 불안이 장기화하자 서울·인천 등을 중심으로 월세 가격의 오름세도 두드러지고 있다.

2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10월 ‘전국주택가격 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주택종합(공동주택·다세대연립·단독다가구) 전셋값은 0.47% 올랐다. 전월(0.53%)보다는 상승폭이 축소됐으나 13개월 연속 이어진 오름세다. 이 통계는 9월 15일부터 10월 12일까지의 변동을 반영한 것으로, 최근 2주간의 움직임은 고려되지 않았다.

전셋값 변동률은 올해 1월 0.28%에서 시작해 2∼5월에는 줄어들어 5월 0.09%까지 내려갔으나 6월 0.26%로 반등한 뒤 7월 0.32%, 8월 0.44%, 9월 0.53%로 4개월 연속 상승폭을 키우는 모습을 보였다.

새 임대차법 시행으로 전월세 계약갱신청구권을 활용해 기존 주택에 눌러앉는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세 물건이 부족해졌고, 집주인들은 4년 앞을 내다보고 미리 보증금을 올려 전셋값이 크게 올랐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런 상황에서 추석 연휴와 코로나19 방역 강화 등에 따른 활동 위축 등으로 지난달보다 상승폭은 다소 축소된 것으로 보인다고 감정원은 설명했다.

서울의 변동률은 0.35%로, 전달(0.41%)과 비교해 0.06%포인트 감소했다. 성동구(0.63%), 노원구(0.52%)의 상승률이 가장 높은 편에 속했다. 서초구(0.40%), 송파구(0.41%), 강남구(0.39%), 강동구(0.39%) 등 ‘강남 4구’의 전셋값 상승세도 평균 이상을 기록했다.

경기도는 0.67% 올라 전달(0.85%)보다 상승폭을 줄였지만 인천은 0.68% 올라 전달(0.52%) 대비 상승폭을 키웠다. 경기에서는 이주 수요가 높은 광명시와 입주물량이 적은 수원시 위주로 상승했고, 인천은 중구와 연수구 신축단지 위주로 전셋값이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5대 광역시 주택종합 전셋값도 0.49% 올라 전달(0.50%)보다 소폭이지만 상승폭을 줄였다. 부산이 유일하게 0.25%에서 0.36%로 상승폭을 키웠다.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월세 가격 오름세가 나타나고 있다. 전국 월세가격지수 변동률은 0.12%로, 지난달(0.13%)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서울은 지난달 0.10%에서 이달 0.11%로 상승폭이 커졌다. 인천(0.09→0.15%)과 지방(0.09→0.10%) 역시 상승폭이 확대됐다.

전세 매물 부족의 영향으로 역세권 인근이나 청약 대기 수요, 교통 호재의 영향이 있는 지역이나 학군이 우수한 지역 위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는 게 감정원의 설명이다.

지난달 전국의 주택 매매가는 0.32% 올라 전달(0.42%)보다 상승폭이 줄었다. 서울은 0.27%에서 0.26%로, 수도권은 0.43%에서 0.30%로 각각 오름폭이 축소됐다. 서울 집값은 중랑구(0.27%), 광진구(0.23%), 마포구(0.23%), 노원구(0.22%), 강북·은평·성북구(0.21%), 관악구(0.20%) 등 외곽지역을 중심으로 많이 올랐다. 송파구(0.06%), 강남구(0.07%), 서초구(0.09%) 등 강남3구는 상대적으로 적게 올랐다.

감정원은 “수도권은 서울 강남권 고가 재건축 위주로 매수세가 감소하고 관망세가 짙어지는 가운데 서울은 25개구 전체에서 상승폭이 축소됐고, 경기는 그동안 상승폭이 높았던 지역 위주로 상승폭이 둔화했다”고 진단했다.

지방도 0.41%에서 0.34%로 줄었고, 5대 광역시(0.62→0.55%)와 8개도(0.21→0.18%) 역시 오름폭이 전달보다 축소됐다.

y2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