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광주시-전남도 34년만에 행정통합 논의에 합의
통합연구용역 2022년 지방선거 이후 통합성사 여부 판단
김영록 전남지사(왼쪽에서 네번째)와 이용섭 광주시장이 행정통합 논의 합의문에 서명하고 있다. 광주=박대성 기자

[헤럴드경제(광주)=박대성 기자] 광주시와 전남도가 행정구역이 분리된지 34년만에 행정통합 공론화를 위한 용역에 착수키로 합의하면서 양 시도 행정통합 논의가 본궤도에 올랐다.

이용섭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지사는 2일 오전 광주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광주·전남 행정통합 논의를 위한 합의문’에 서명하고 1986년 11월1일 광주직할시로 승격해 전라남도에서 분리독립한 이래 34년에 통합논의를 본격 선언했다.

이날 6개항의 합의문에는 ▷통합논의는 민간중심으로 추진하고 행정은 이를 적극 지원 ▷통합논의를 위한 1단계는 광주·전남연구원이 통합의 내용과 방법, 절차 등 제반사항에 관한 연구용역을 수행하고 연구내용에는 경제공동체 구축 등 다양한 방안들의 장·단점 포함 ▷통합논의 2단계는 용역기간 1년과 검토·준비기간 6개월을 거쳐 시도 통합 공론화위원회 구성·진행에 합의했다.

또한 ▷양 시도는 통합단체장의 권한을 강화해 명실상부한 통합과 조정의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도록 충분한 권한과 재정지원 확보 등 연방제수준이 지방분권에 상호협력 ▷통합청사 소재지는 논의의 장애가 돼서는 안된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통합 이후에도 현재의 광주시·전남도 청사기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노력 ▷통합논의가 국립 의과대학의 지역내 설립 등 두 지역의 주요현안 정책에 영향을 끼지치 않는 범위 내에서 추진할 것 등이 합의문에 담겼다.

광주전남연구원이 수행할 연구용역은 대구·경북 등의 사례를 참조해 메가시티 등의 구상을 담을 예정이고, 광주와 무안(전남도청)으로 나뉜 도청 소재지를 어떻게 할지, 통합시도 명칭을 ‘광주전남 특별자치도’로 할지, 메가시티 개념의 ‘통합광주시’ 등으로 정할지 여부가 용역안에 담길 예정이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그동안 통합추진시기와 방법, 통합청사 위치 등을 놓고 상당한 이견차를 보였지만, 대승적인 차원에서 통합을 하는 것이 지역발전에 유리한지 여부는 용역을 통해 시도민 공론화를 거쳐 추진키로 했다.

이용섭 시장은 앞서 지난 9월 초 혁신도시 2차이전사업 경쟁과 광주 군공항 이전사업 등을 놓고 전남도와의 소모적 경쟁에 따른 비효율성을 이유로 광주·전남 양 시도의 행정통합을 제안했고, 양쪽이 물밑에서 내부논의를 거쳐 2개월만에 통합을 위한 첫 단추를 꿰게 됐다.

양 시도의 통합논의는 싱크탱크기관인 광주전남연구원의 1년간의 용역기간과 6개월간의 검토준비기간을 거쳐 통합공론회를 구성하면, 실제로 통합을 위한 여론조사까지는 2년 정도 소요돼 2022년 지방선거일(6월1일)이 이후에나 통합성사 여부 윤곽이 잡힐 전망이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서명식에서 “시도 통합은 1+1이 아닌 1+3이 되는 통합이어야 하며, 중앙정부에서도 연방제 수준의 재정과 권한이 주어져야 한다”며 “통합이 양시도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 상호 ‘윈윈’해야지 어느지역이 불리하게 작용해서는 통합이 성공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광주전남 통합논의를 위한 시도지사간 합의는 새로운 광주·전남시대를 여는 의미 있는 첫 걸음이자, 시작이 반이고 천리길도 한걸음부터다”면서 “우리는 하나라는 통합정신을 바탕으로 상생차원으로 접근하면 여러 현안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고 당위성을 강조했다.

parkd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