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헤럴드광장] 스마트팜 데이터, 씨를 뿌리는 심정으로 준비하자

전 국민적 인기를 끌었던 장수 드라마 ‘전원일기’ 덕분인지 ‘農者天下之大本’이라는 오랜 경구 때문인지, 우리의 농촌은 늘 푸근하고 넉넉한 이미지로 다가온다. 마음의 고향처럼 늘 그곳에 있지만, 우루과이라운드, 자유무역협정(FTA) 같은 커다란 사건이 발생할 때야 비로소 돌아보게 되는 아픈 손가락이다. 해외 농산물 수입이 폭증하고, 농업 분야가 우리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빠르게 감소하는 등 농촌의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우리 농촌은 초고령화와 인건비 상승, 농지면적 감소, 에너지 비용 상승, 비과학적인 유통구조로 존재 자체를 위협받는 실정이다.

해법은 ‘스마트팜(지능형 농장)’이다. 스마트팜이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원격, 자동으로 작물의 생육환경을 관측, 관리하는 농업 방식이다. 문재인 정부는 8대 혁신성장동력 중 하나로 스마트팜을 선정, 2022년까지 ‘스마트팜 혁신밸리’ 4개소를 구축하기로 했다. 농가 단위로 이뤄지던 스마트팜 보급 전략을 보완해 기술개발, 교육, 창업, 생산, 판로개척이 집약된 스마트팜 확산 거점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4차 산업혁명의 흐름에 발맞춰 미래 먹을거리를 안정적, 장기적으로 확보함과 동시에 젊은이들에게는 농업이 전도유망한 분야로 인식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인터넷과 SNS를 통해 먹을거리에 대한 정보가 넘치도록 유통되다 보니,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요구도 매우 다양화, 고급화되고 있다. 이를 반영하기 위해서는 농장 내외부에서 생성되는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농장을 실시간 제어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여기에 필요한 것이 최근 각광받고 있는 센서 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이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3세대 스마트팜 역시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완전 무인, 자동화된 농장을 구현하는 것이다. 관련 기술을 패키지 형태로 개발해 우리 농업경쟁력을 회복하고 나아가 중앙아시아, 중동, 중남미까지 관련 시스템을 수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농업의 인공지능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흔히 ‘데이터는 4차 산업혁명의 쌀’이라는 비유를 쓰곤 하는데 스마트팜 분야의 데이터는 그야말로 미래를 위한 씨앗인 셈이다.

스마트팜 데이터를 둘러싼 글로벌 경쟁도 심화되고 있다. 전통적인 농업 회사인 몬산토, 존디어뿐만 아니라 MS, 구글 등 IT의 강자들도 농업 데이터 분석을 위한 투자에 뛰어들고 있다. 세계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우리 스마트팜은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

기업의 이윤이 아닌 농민 관점에서 스마트팜 기술의 필요성과 효용을 설득해야 한다. 농민이 원하는 기술을 개발해야 확산과 보급을 쉽게 할 수 있다. 데이터를 표준화, 체계화하고, 데이터의 품질을 제고하기 위해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를 총괄할 수 있는 컨트롤 타워를 세워야 한다. 변화 많은 농업의 특성상 다양한 조건을 시험할 수 있는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은 필수조건이다.

우리 선조들이 비옥한 농토를 물려주었듯이, 우리는 후손들에게 인공지능과 데이터로 무장한 3세대 스마트팜을 물려주어야 한다. 그래야 ‘農者天下之大本’의 가치가 이어진다.

이상엽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부원장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