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상최대’ 가계대출, 30대가 주도…부동산 ‘영끌’ 수요↑
2030 은행권 대출, 6070 비은행 대출 비중 증가
4050, 대출비중 줄었으나 저축은행·대부업 비율↑
지난 9월 서울 강남구 한강 인근에서 바라본 한강 이북 아파트. [연합]

[헤럴드경제=정윤희 기자]올해 2분기 말 기준 가계부채가 1630조원을 넘어서며 ‘사상 최대’를 기록한 가운데 30대 이하와 60대 이상이 가계부채 증가를 주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민의힘 윤두현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연령대별·업권별 가계대출 구성비’ 자료(대출금액 기준)에 따르면, 전체 가계대출에서 30대 이하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2분기 26.0%를 기록했다.

이는 2016년 연간 24.8%에서 3년 반 동안 1.2%포인트(p) 늘어난 것이다. 같은 기간 6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도 16.6%에서 18.6%로 2.0%p 늘어났다. 반면, 같은 기간 40대(30.4%→28.7%)와 50대(28.1%→26.6%)가 차지하는 비중은 1∼2%p 가량 떨어졌다.

특히, 30대 이하 연령층의 가계 대출 비중 증가는 부동산 수요 때문으로 풀이된다.

30대 이하의 경우 이른바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다는 뜻)’을 통해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가 크게 늘면서 가계대출이 늘어난 것이다. 60대 이상의 가계 대출 구성비가 증가한 까닭은 고령화로 인해 60대 인구 자체가 빠르게 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윤두현 국민의힘 의원이 8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공정거래위원회·한국소비자원 등 국정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다. [연합]

연령대별로 돈을 빌리는 업권에도 차이가 났다.

가계대출 내역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30대 이하의 전체 대출에서 은행권 대출 비중은 2016년 27.7%에서 올해 2분기 30.6%로 3년여 동안 2.9%p 늘어났다. 반면, 같은 기간 비은행권 대출 비중은 21.0%에서 19.9%로 1.1%p 줄었다.

30대 이하의 경우 상대적으로 신용등급이나 소득 수준이 높은 만큼, 대거 은행을 통한 대출을 늘린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달리 60대 이상 고령층의 대출 비중은 비은행권에서 두드러지게 증가했다. 60대 이상의 은행권 대출 비중은 2016년 13.7%에서 올해 2분기 14.4%로 0.7%p 늘어난 데 그쳤으나, 같은 기간 비은행권 대출 비중은 20.4%에서 24.8%로 4.4%p 늘었다.

또, 40대와 50대의 경우는 전체 가계대출에서 해당 연령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감소했으나, 저축은행과 대부업에서의 대출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대출 위험성이 더 커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저축은행의 경우 40대의 가계대출 비중이 2016년 31.2%에서 올해 2분기 32.9%로 늘었고, 같은 기간 50대는 20.9%에서 23.4%로 증가했다. 대부업의 경우도 40대 가계대출 비중이 2016년 33.9%에서 35.6%로 늘었고, 50대는 19.8%에서 25.7%로 급증했다.

윤 의원은 “당국이 가계 부채 총량을 줄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연령대별로 대출 증가 요인과 위험 정도가 다른 만큼 ‘맞춤형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yun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