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띄어쓰기 틀렸다고 폭언'…"한·아프리카재단, 조기퇴직 만연"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 분석 자료
36명 중 18명 퇴직…근속 8.2개월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이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의 외교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 외교부 산하기관 한·아프리카재단 직원 중 절반 이상이 '직장 내 괴롭힘' 등 이유로 퇴직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설립된 지 불과 2년 2개월 만이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이 한·아프리카재단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 6월 설립 당시 채용된 직원 17명을 더해 2년 2개월간 재직 직원 36명 중 18명(50%)이 퇴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에는 재직자 17명 중 13명이 퇴직한 것으로 집계됐다. 퇴직자 18명의 평균 근속 기간은 8.2개월이었으며, 보름 만에 사표를 내는 등 취업 후 조기퇴직이 만연했다.

김 의원실은 이같은 높은 퇴직율의 사유를 '직장 내 괴롭힘'으로 분석했다. 취업 준비생과 재직·퇴직자 등이 기업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이용하는 한 사이트에 따르면 직장 상사의 폭언·갑질, 연봉 삭감, 업무 떠넘기기 등 사유가 대부분이었다는 것이다.

김 의원실이 이 사이트를 조사한 결과, 한·아프리카재단에 대해 '저녁 6시30분쯤 퇴근하면 비주류 직원이 된다', '자신에게 부여된 권력을 마구 휘두르고 폭언을 일삼는다', '띄어쓰기 하나, 단어 선택 하나 갖고 소리를 지르고 폭언을 한다', '아프리카 같고, 아프리카스럽지만 아프리카를 위한 기관은 아닌 정체성이 없는, 국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기관' 등의 평가가 남아있었다.

재단 핵심 관계자는 "신생 기관으로 인력과 사업 정체성이 형성돼가는 과도기적 과정에서 기인하는 상황"이라고 김 의원실에 설명했다.

김 의원은 "외교부가 산하기관에 대한 관리 소홀로 청년 구직자들을 두 번 울리고 있다"며 "외교부 차원의 면밀한 조직진단으로 재단의 불합리한 근로환경을 조기에 개선시켜야 한다"고 했다.

yu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