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단독]코이카, 4년간 안 쓰고 그냥 버린 비축품 약 1억원
의약품·식료품·장비 등 구조·의료용 비축품 1억원어치 버려져
코이카, 회의 통해 폐기 결정…2018년 폐기된 비축품만 6600만원
김홍걸 무소속 의원이 지난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열린 외교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사진행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홍승희 기자]한국의 대외 무상 협력 사업을 주관하는 외교부 산하 준정부기관인 ‘한국국제협력단(KOICA·코이카)’에서 4년간 유통기한이 지나 안 쓰고 버린 비축품만 약 1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김홍걸 무소속 의원이 11일 코이카로부터 제출받은 ‘대한민국 해외긴급구호대 비축물품 폐기 세부내역’을 분석한 결과 2017년부터 현재까지 약 64건의 폐기가 이루어졌으며, 금액은 9138만2840원에 이르렀다.

김 의원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폐기된 비축품은 의약품과 식료품이 대부분이었으며, 노후화된 장비도 일부 포함돼 있었다.

폐기된 비축품 중 금액 기준으로 가장 큰 것은 2016년 12월 구입한 의약품, ‘파자임-95밀리그람이중정’ 500개(2325만500원)이며, 2018년 유통기한이 도래해 전량 폐기했다. 2016년 12월 구입한 ‘마구내신주사액50%(황산마그네슘수화물)’ 100개 역시 1847만3000원을 들여 구입했으나 유통기한이 끝나 전량을 2018년에 폐기했다.

버려진 식료품 중에는 컵라면, 햇반, 생수, 커피믹스 등도 포함돼 있었다.

유통기한이 끝난 후 폐기까지 걸리는 시간도 상당한 것으로 분석됐다. 유통기한 도래 후 폐기일까지 걸린 평균 기간은 144.1일이었다. 50일에서 100일 사이에 폐기한 물품은 14건, 100일에서 200일 사이에 폐기된 물품은 15건이었다. 무려 200일 이상 지나 폐기한 비축품은 20건이었으며, 이 물품들의 유통기한 도래 후 폐기까지 소요된 기간은 301.1일이었다. 이중 4건의 컵반, 햇반, 간편 카레 등 2016년에 구입한 식료품은 1년이 훨씬 지난 386일, 399일, 418일이 되어서야 폐기 처분됐다.

연도별 비축품 폐기 규모[김홍걸 의원실 제공]

코이카는 회의를 통해 비축품 폐기를 결정한다. 김 의원은 2018년도에 비축품 폐기 규모가 많고 유통기한 후 폐기일 기간도 상당한 것으로 보아 2017년도에 비축품 폐기 결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분석했다.

아울러 비축품 폐기의 특성상 구입 후 일부 사용 후 남은 물량을 폐기하는 것이 아니라, 구입단위의 물품 그대로 폐기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방대한 구입물량이 한꺼번에 버려지는 것이다.

김 의원은 “쓰지도 않고 않고 버리는 비축품 구입비용도 문제지만, 페기 절차나 과정도 문제가 있다”며 “식료품과 의약품은 유통기한에 특히 민감한 만큼 구입과 폐기에 대한 시스템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h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