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文 대통령, 백신도 ‘공정’ 강조…“빈곤국도 코로나19 백신 받아야”
 

“국제사회가 코로나19 백신 선구매해 분배해야”
치열해진 백신 확보 경쟁 속 국제사회 관심 촉구
‘코백스 AMC’ 기금 참여 당부…北도 지원 대상 포함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총회장에서 열린 75차 유엔총회에서 기조연설을 영상으로 전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헤럴드경제=유오상 기자] 제75차 유엔 총회에서 기조연설에 나선 문 대통령은 코로나19 백신 확보에 있어서도 ‘공정’을 강조했다. 각국이 개발 전부터 백신 확보 경쟁에 나선 상황에서 문 대통령은 “빈곤국도 백신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며 백신 지원을 위한 국제 모금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유엔 총회 일반토의에서 유엔 회원국 중 10번째로 기조연설을 하며 “백신과 치료제의 개발을 위한 국제협력뿐 아니라, 개발 후 각국의 ‘공평한 접근권’이 보장돼야 한다. 국제모금 등을 통해 국제기구가 충분한 양의 백신을 선구매해, 빈곤국과 개도국도 그 혜택을 받을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이 세계보건기구(WHO)와 세계백신면역연합(Gavi)의 ‘세계 백신공급 메커니즘’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 문 대통령은 "한국은 ‘국제백신연구소(IVI)’의 본부가 있는 나라로서, 개도국을 위한 저렴한 백신 개발·보급 활동에 적극적으로 협력할 것"이라고 했다.

또 “유엔의 ‘포용적 다자주의’는 모든 나라에 코로나 백신을 보급할 수 있을지 여부로 첫 시험대에 오르게 될 것이 분명하다”며 빈곤국에 백신을 보급하는 국제사회의 모금 확대를 제안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이 ‘코로나19 백신 분배’에서도 공정을 언급한 것은 최근 각국은 코로나19 백신을 우선 확보하기 위한 경쟁이 더 치열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아직 유효하고 안전한 백신이 언제 개발될지도 알 수 없는 상황임에도 각국은 백신을 개발 중인 제약사와 선구매 계약 경쟁을 강화하고 있다.

우리 정부 역시 주요 백신 개발사뿐만 아니라 백신을 공동 구매하는 유일한 국제사회 추진 기금인 '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 20% 상당의 백신 물량을 확보한다는 계획이지만, 상대적으로 재정 상황이 열악한 빈곤국들은 국제사회의 관대한 처분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빈곤국에 대한 백신 제공을 강조한 문 대통령의 이번 발언은 개도국에 백신 물량을 염가에 제공하는 국제 기금인 ‘코백스 AMC’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을 촉구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코로나19 방역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북한 역시 AMC 대상 92개국 중 하나로, 문 대통령의 이번 언급은 북한에 대한 백신 지원 의미도 갖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개발도상국에서 코로나19 환자 발생이 계속된다면 모든 국가가 연결 돼있는 상황에서 우리 역시 감염자와 접촉할 수밖에 없다. 개도국 방역은 우리의 방역이기도 하다”며 “유럽연합(EU) 역시 최근 개도국 지원을 위해 코백스에 가입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코백스 퍼실리티에 참여 중인 국가는 전 세계 190여개국 중 85개국에 달한다. 다만, 문 대통령이 언급한 개도국을 위한 국제기금인 ‘코백스 AMC’는 아직 본격적인 논의조차 시작되지 않은 상태로, WHO와 Gavi는 코백스 퍼실리티 구성이 완료되는대로 개도국 지원을 위한 기금 논의를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osy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