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전기車 화재위험 낮추고 충전속도 4배 높였다
- 충남대 송승완 교수팀, 리튬이온 이차전지 충전속도 향상 기대

신규 불연 전해액을 적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흑연 음극의 계면 안정화 효과.[충남대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전기차에 활용되는 리튬 이차전지의 배터리의 화재위험은 줄이고 충전속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이 국내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충남대 응용화학공학과 송승완 교수 연구팀이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충전속도를 4배 이상 향상시킬 수 있는 고안전성 계면제어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전기자동차와 에너지스토리지시스템(ESS) 시장이 확대되는 가운데 리튬이온전지의 에너지밀도와 충전속도를 높여 주행거리와 저장용량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활발하다.

특히 리튬이온전지의 수명과 안전성을 좌우하는 전극 표면보호층의 안정성을 높이려는 연구가 주목받고 있는데 전해액 소재 조절을 통해 전극 표면보호층을 안정화시키거나 불연성 또는 난연성 전해액을 개발함으로써 화재위험을 줄이려는 것이다.

하지만 리튬이온전지에 주로 사용되는 흑연음극의 경우 기존 전해액하에서 표면보호층이 비균일하거나 두껍게 형성될 수 있고, 표면보호층 자체가 저항으로 작용해 충전속도와 용량을 낮추는 한계가 있었다. 결국 흑연음극의 이론용량(372mAhg-1) 에 도달하려면 20시간 이상 충전해야만 했다.

연구팀은 새로운 유기계 불연성 전해액을 이용해 얇고 안정적인 낮은 계면저항을 갖는 표면보호층을 흑연음극 표면에 구축, 기존보다 4배 이상 빠르게 흑연음극을 충전하는 데 성공했다.

빠른 충방전 속도로 흑연음극의 이론용량급인 370 mAhg-1을 구현했고 안정한 충방전 사이클 성능을 확보했다.

기존에도 난연성 전해액 첨가제가 사용되나 흑연 음극과의 계면호환성이 낮은 경향 때문에 안전성은 향상되나 성능은 약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반면 연구팀은 흑연 음극과의 계면호환성이 좋은 불연성 전해액을 개발해 얇고, 안정하고, 낮은 계면저항을 가지는 표면보호층을 흑연 음극 표면에 구축하여 리튬이온 이차전의 안전성과 성능을 모두 높이고자 한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성과는 에너지화학분야 국제학술지 ‘캠서스캠’ 8월 2일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