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 복귀한 전공의…의대생들 ‘의사고시 응시’ 촉각
서울대 의대생 70.5% “응시 거부 반대”
새 대전협 비대위, 전공의 업무 복귀 결정
의료계 “시험볼 수 있게 해야 사태 해결”
2021년도 제85회 의사국가시험 실기시험 둘째 날인 9일 서울 광진구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으로 직원 및 관계자들이 출입하고 있다. [연합]

전공의와 전임의들이 파업을 중단하고 진료 현장으로 복귀하면서 집단행동을 이어오던 의대생들도 이를 멈추고 의사 국가고시에 응할지 관심이 커지고 있다.

9일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대 의과대학 학생회는 전날 단체행동을 지속 여부를 설문조사했다. 학생회가 재학생 884명을 대상으로 동맹휴학과 국시 응시를 거부하는 단체행동을 이어갈지 물은 결과, 70.5%가 반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투표에는 745명(84%)이 참여했다. 특히 본과 4학년 학생 81%는 ‘단체행동을 지속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답했다. 사실상 국시 거부를 ‘철회’하는 쪽으로 의견이 모인 셈이다.

이광웅 서울대병원 교수비대위원장(서울대병원 외과 교수)은 “교수들은 학생들의 결정을 전적으로 존중하고 지원한다”며 “의대협(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에서도 긍정적인 방향으로 논의하고 선택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서울대 의대에서 이런 조사 결과가 나오자 다른 대학에서도 의대생들의 국시 복귀 선언이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실제 의대생 사이에선 의·정 협의가 타결되고 전공의들이 복귀한 상황에서 집단행동의 동력이 없어졌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의대협이 지난 7일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의·정 합의문이 제대로 이행된다면 집단행동을 멈춰야 한다는 의견도 일부 제시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의대생들이 입장을 번복해 국시에 응시하겠다는 의사를 밝힌다 해도 실제 시험을 치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이미 정부는 국시 일정을 지난달 31일에서 이달 8일로 일주일 연기하고 재신청 기한 역시 두 차례 연장한 바 있다. 특히 정부는 의대생들이 스스로 국시를 거부하는 상황에서는 ‘구제’할 수 없다는 입장이 확고하다.

반면 대한의사협회(의협) 등 의료계에서는 시험에 응시하지 않은 의대생들이 시험을 볼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의협에서는 의대생들이 국시에 응시하지 못해 손해를 본다면 총궐기대회 등 단체행동도 불사하겠다고 맞서고 있다. 아직 업무 복귀를 하지 않은 일부 전공의 역시 의대생의 국시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의료계는 의대생들이 국시에 응시할 수 있게 돼야 혼란스러운 의료계 상황이 정리될 것이라고 했다. 이 위원장은 “아직도 일부 전공의가 복귀하지 않는 등 사태가 완전히 해결되지 않은 이유는 의대생 국시 문제가 남아 있기 때문”이라며 “현시점에서 의대생들의 국시 응시 여부 및 동맹휴학에 대한 퇴로를 열어줘야 사태의 핵심 고리가 풀린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서 “학생들의 의사표명에 발맞춰 정부가 국시 재접수 진행 등의 아량을 베풀어주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파업을 이어가던 전공의들은 속속 진료 현장으로 복귀하고 있다. 전날까지 서울대병원·서울아산병원·삼성서울병원·서울성모병원에 이어 세브란스병원 전공의들까지 현장에 복귀하기로 결정했다. 이어 고려대의료원과 경희대병원 전공의도 병원으로 돌아가기로 했다.

새로 출범한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도 전공의 업무 복귀 결정을 내렸다. 대전협 새 비대위는 8일 저녁부터 9일까지 이어진 대의원회의를 통해 9일 오전 7시를 기해 전공의들이 진료 현장에 복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손인규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