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부 “의대생들의 국시 추가 접수, 고려 안한다”
“응시 거부 상황에서 구제는 불가능”

2021년도 제85회 의사국가시험 실기시험 첫날인 8일 서울 광진구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으로 관계자들이 출입하고 있다. 이날 의사 국시 실기시험은 의대생 대다수가 응시하지 않아 축소되어 진행될 예정이다. 연합뉴스

[헤럴드경제=손인규 기자]오늘(8일) 제85회 의사국가시험 실기시험이 시작된 가운데 정부는 추가 접수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을 재차 확인했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대변인은 이날 오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 브리핑에서 “이미 한 차례 시험 일정을 연기했고 접수 기간도 추가로 연기한 바 있기 때문에 더 이상 추가 접수 기회를 부여하는 방안은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서 “현재 의대생들이 국가시험을 스스로 거부하고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 정부에 구제 요구를 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을 해결하라고 요구하는 것과 같다”며 “대한의사협회(의협)나 전공의 단체는 정부에 무엇을 요구하기보다 의대생들이 스스로 '학업에 복귀하고 시험을 치르겠다'고 입장을 바꾸게 하는 노력을 우선하는 것이 순리”라고 말했다.

앞서 복지부는 지난달 31일 의사 국가고시 실기시험을 하루 앞두고 시험을 1주일 연기했으나, 의대생 대다수는 재접수 기간에도 응시를 거부했다. 전날 0시 마감된 의사국시 실기시험에는 응시대상 3172명 중 14%인 446명만이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의협 등 의료계에서는 의대생들이 시험을 볼 수 있도록 구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하는 상황이다. 손 대변인은 “의협과 전공의 단체에서 의대생 국가시험 구제 요구를 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은 요구라고 판단한다”며 “의대생에게 국가시험의 추가적인 기회를 주는 것에 대해 많은 국민이 공정성과 형평성에 위배된다고 생각하는 사실을 의료계는 유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손 대변인은 올해 시험 응시생이 줄어 내년도 인턴 수급에 차질을 빚는 게 아니냐는 질의에는 “의사가 해야 하는 업무를 구분하고 의사 인력을 단기적으로 확충하는 것, 또 경증환자를 중소병원으로 더 분산해서 대부분 상급병원인 수련병원에서 중증환자에 집중할 수 있도록 업무량을 조정하는 부분 등을 논의하면서 대응 방안을 수립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윤성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국시원) 원장은 의대생들이 우선 입장을 정리해 응시 의사를 표시해야 해결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원장은 “의대생들이 시험을 보겠다고 하고 복지부가 시험을 보게 한다면 국시원은 미리 준비한 것, 또는 새로 준비를 해서 시험을 보도록 마련할 수 있다”고 말했다.

iks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