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朴성추행 방임 의혹’ 규명 위해 피해자-市관계자들 대질신문 추진
“양측 진술 엇갈려”…경찰, 서울시 관계자들에 거짓말탐지기 사용도 검토
클리앙 등 온라인 악성댓글 게시자 8명 입건…“수사 대상 더 늘 수도 있다”
서울지방경찰청. [연합]

[헤럴드경제=신주희 기자] 경찰이 서울시 관계자들의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성추행 방임 의혹’과 관련해 대질신문, 거짓말탐지기 등을 수사 방식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서울시 관계자들과 피해자의 진술이 엇갈리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서울지방경찰청 관계자는 4일 서울 종로구 서울지방경찰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현재까지 방임 의혹과 관련해 참고인 20명을 조사했는데, 피해자와 진술이 다른 부분도 많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와 관련해 또 다른 경찰 관계자는 “피해자도 대질신문을 할 용의가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며 “수사를 위해서는 과감하게 대질을 추진하는 것이 맞지만 피해자가 정신적으로 굉장히 힘들어하는 상태기도 해 전문가들 통해 과연 이 방식이 피해자 입장에서 수용할 수 있는 것인지 등을 조율 중”이라고 말했다. 수사를 돕고 있는 의료진 등 전문가그룹에서는 피해자가 서울시 관계자들과 마주하는 것이 현재 상태에 비춰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는 방침이다. 경찰 관계자는 “참고인(서울시 관계자) 중 동의하는 사람에 한해 거짓말탐지기 활용도 계획하고 있다”고 했다. 박 전 시장의 사망 경위 수사를 위해 지난달 참고인으로 소환한 임순영 서울시 젠더특보의 경우 아직 성추행 방임 의혹 관련 조사는 진행하지 않았다고 경찰은 설명했다.

경찰은 클리앙·디시인사이드 등 피해자에 대한 온라인 2차 가해가 벌어진 인터넷 커뮤니티를 수사해 악성댓글 등을 게시한 8명을 입건했으며, 일부 피의자의 출석을 요구한 상태다. 경찰 관계자는 “수사 대상자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경찰은 ‘피해자가 작성한 고소장’이라며 온·오프라인에 나돈 문건을 유출한 혐의로 피해자의 어머니가 알고 지낸 교회 관계자 등 5명을 입건해 수사 중이다. 이 중 2명은 문건의 온라인 유통에 관여한 혐의로 추가 입건됐다. 경찰은 인터넷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으로 삽시간에 퍼져나간 ‘고소장’ 문건을 이 두 사람이 최초로 올린 것으로 보고 있다. 이들이 해당 문건을 어떻게 얻었는지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추가 수사가 필요하다.

박 전 시장 유가족의 요청에 따라 중단된 업무용 휴대전화의 디지털 포렌식에 대해 경찰은 수사를 더 진행해 참고인 진술과 증거 등을 보강한 뒤 이를 다시 추진하기 위한 영장 재신청을 검토할 계획이다. 경찰 관계자는 “포렌식 중단으로 (사망 경위·성추행 방임 의혹) 수사에 현실적으로는 어려움이 있다”며 “(방임 등 혐의 사실 입증을 위한) 수사 강도를 좀 더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피해자 측의 의사에 따라 의혹 전반을 직권조사하기로 한 국가인권위원회와 관련해 경찰 관계자는 “피해자·참고인 진술 내용 등 수사 서류를 제공해달라는 요청이 오면 법이 허용하는 한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jooh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