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코로나19 속 7개국 외교차관 모여…韓 “한국 경제는 비교적 후퇴 수준 낮아”
11번째 ‘역내 7개국 외교차관 협의 진행
기업인 필수 이동 보장 필요성 등 강조
이태호 외교부 2차관이 31일 오전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역내 7개국 외교차관간 전화협의에 참여하고 있다. [외교부 제공]

[헤럴드경제=유오상 기자]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모인 역내 7개국 외교차관들이 코로나19 대응 상황을 공유하며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특히 장기간 이어진 확산 사태에 세계 경제가 침체하는 상황 속에서 우리 정부는 “적극적 경제 활성화 정책으로 후퇴 수준이 비교적 낮았다”며 한국형 뉴딜을 소개했다.

외교부는 31일 “이태호 2차관이 이날 오전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역내 7개국 외교차관간 전화협의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한국을 비롯해 미국과 일본, 호주, 뉴질랜드, 인도, 베트남이 참여했다. 역내 7개국 외교차관 회의는 이번이 11번째로, 코로나19 공동 대응을 위해 지난 3월부터 시작됐다.

외교부는 “이번 전화협의에서 외교차관들은 코로나19 대응 관련 역내 협력 촉진 방안과 경제활동 재개 방안, 안전한 국제여행 재개 방안, 백신・치료제 개발 및 안정적 보급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 차관은 “세계 경제의 침체 속에서도 우리 정부의 적극적인 경제 활성화 정책을 통해 한국 경제는 비교적 경제 후퇴 수준이 낮은 편”이라고 소개하며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의 대한민국 경제의 대전환을 위한 한국판 뉴딜을 발표하고 오는 2025년까지 160조원을 투자해 일자리 190만개를 창출할 계획”이라고 했다.

또 “국내 코로나19 상황이 비교적 잘 통제되고 있다”면서도 “최근 해외유입이 증가함에 따라 방역강화 대상국가로 지정된 일부 국가에서 입국하는 경우에는 음성확인서를 제출토록 하고 있다”고 방역 대책을 설명했다. 동시에 기업인 등 필수인력의 이동 보장을 위한 국제협략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최근 저신다 아던 뉴질랜드 총리를 포함해 7개국 정상과 함께 촉구한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동등한 접근권’을 언급하기도 했다. 이 차관은 회의에서 글로벌 백신 공급 체계인 ‘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 코로나19 백신 개발 및 보급을 계속 공조해나가자고 했다.

osy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