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유엔 “北 인구 48% 영양 부족 시달려”
세계보건기구 등 공동 보고서 발표
北 식량사정 최근 들어 오히려 악화
식량농업기구(FAO)와 국제농업개발기금(IFAD), 세계식량계획(WFP), 유엔아동기금(UNICEF), 세계보건기구(WHO) 등 주요 유엔기구들은 13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에서 북한 인구의 절반가량이 여양부족에 시달리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주민들이 협동농장에서 씨 뿌리기 작업을 하는 모습. [헤럴드DB]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북한 인구의 절반가량이 영양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엔 기구들이 13일(현지시간) 공개한 ‘세계 식량안보 및 영양상태’ 보고서는 지난 2016년부터 2019년까지 북한 인구의 47.6%인 1220만명이 영양부족에 시달렸다고 밝혔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이 14일 보도했다. 유엔 산하 식량농업기구(FAO)와 국제농업개발기금(IFAD), 세계식량계획(WFP), 유엔아동기금(UNICEF), 세계보건기구(WHO) 등 5개 주요 기구들이 매년 공동으로 작성해 발표하는 보고서 내용이다. 매년 각국의 영양상태를 비롯해 아동과 여성의 건강상태 등과 관련한 통계를 보여준다.

작년 같은 보고서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북한 인구의 43.4%에 해당하는 약 1100만여명이 지속적인 영양부족에 시달리고 있다고 밝혔다. 작년에 비해 올해 북한 주민들의 영양상태가 더 악화된 셈이다. RFA는 12년 전인 지난 2004년부터 2006년까지 북한 주민의 영양부족 인구 비율은 34%였다며 올해 13%p 이상 크게 늘었다는 점에서 더욱 심각해진 북한의 식량 부족 상황을 보여준다고 전했다.

이는 평균 2.5%인 중국과 일본, 몽골, 대만 등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 영양부족 인구 비율을 크게 웃돈다. 한국의 경우 2016년에서 2019년까지 영양부족 인구 비율은 2.5%였다.

다만 보고서는 북한 아동들의 영양상태는 다소 호전된 것으로 평가했다. 작년 발육부진을 겪은 5세 미만 아동 비율은 19%로 2012년에 28%에 비해 10%p 낮아졌다. 같은 기간 과체중 5세 미만 아동 비율은 0.1%에서 2.3%로 늘었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지속되는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까지 덮치면서 북한 주민들의 영양상태가 더 악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막시모 토레오 FAO 수석 경제연구원은 작년 아시아에서 약 3억8000만명의 사람들이 영양결핍을 겪었다며 “코로나19 사태가 올해 굶주리는 사람들의 수를 약 1억3200만명 더 증가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