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란 “한국, 미국 제재만 맹종”…석유수출대금 반환 요구
“한국, 이란 자산 동결할 권리 없어”
이란 고위급 잇따라 한국 비판 가세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 [연합]

[헤럴드경제=유오상 기자] 미국의 경제 제재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란이 한국에 석유 수출대금 반환을 요구하고 나섰다. 미국의 대이란 제재로 동결된 석유 수출대금 반환 문제를 두고 최근 이란과의 인도적 교역을 재개한 정부는 다시 고심에 빠지게 됐다.

세예드 압바스 무사비 이란 외무부 대변인은 15일(현지시간) 미국의 대이란 제재 탓에 한국의 은행에 동결된 이란의 석유 수출대금을 반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무사비 대변인은 “이란과 한국은 정부, 기업간 관계가 좋았다. 그런데 한국이 미국의 대이란 제재와 압박에 맹종하면서 우리가 우리의 자산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막았다”고 했다.

그는 “다른 나라(미국)에 복종하기로 한 나라(한국)의 그런 결정이 놀라운 일은 아니다"라면서도 "한국은 이란의 자산을 오랫동안 동결할 권리가 없다"라고 비판했다. 또 "정부는 중앙은행과 함께 우리의 돈을 되찾기 위해 모든 법적, 정치적, 외교적 수단을 마련하겠다"라며 "한국은 반세기 동안 이어진 양국의 우호를 훼손하지 않도록 재고하기 바란다"라고 덧붙였다.

알리 라비에이 이란 정부 대변인도 이날 주간 브리핑에서 "한국은 필수품과 의약품 등 인도적 물품을 이란이 수입하는 데 동결된 석유 수출대금을 써도 된다고 했다"라며 "그러나 한국은 알 수 없는 이유로 이에 협조하지 않는 것 같다"라고 말했다. 앞서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과 압돌나세르 헴마티 이란중앙은행 총재도 지난 주 이란이 한국의 두 은행에 묶인 석유 수출대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한국 정부에 촉구했다.

현재 이란 정부가 반환을 요구하는 석유 수출대금은 모두 8조4000억원 규모로 우리은행과 IBK기업은행에 예치된 상태다. 한국과 이란은 지난 2010년 미국 정부의 승인으로 이들 두 은행에 이란중앙은행이 개설한 원화결제계좌로 교역이 가능했지만, 지난해 9월 미국 정부가 이란중앙은행을 특별지정제재대상(SDN)에서 국제테러지원조직(SDGT)으로 제재 수준을 올리면서 한국의 두 은행은 이 계좌의 운용을 중단했다.

우리 정부는 자칫 이란과 거래에 나섰다가는 미국의 제3자 제재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반환을 주저하고 있지만, 최근 이란과의 인도적 교역이 성사되며 이란 측의 반환 요구는 더 거세지는 모양새다. 이란은 미국의 원유 수출 제재와 코로나19의 여파로 외화보유액이 부족해지자 해외에 동결된 자국 자산을 회수하려고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osy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