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경두, 방산업체 간담회 "무기, 해외수입보다 국내도입"
27개 업체 CEO 참석해 30여개 건의사항 발표
정경두 "코로나19로 국내 방산업계 어려움 겪어"
정경두 국방부 장관이 15일 서울 용산구 국방컨벤션에서 열린 방산업체 CEO와의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정경두 국방부 장관은 15일 방위산업기업 관계자들을 만나 "방산 수출이 힘들기 때문에 내년 예산편성 등에서 해외 도입 물량보다는 국내 방산업체 물량을 더 많이 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이날 서울 용산구 국방컨벤션에서 열린 '제4회 방산업체 CEO(최고경영자)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코로나19로 인해 방산업계가 경제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이어 "해외 방산 전시회도 못 하고 수출 논의가 중단되는 등 어려운 환경"이라며 "계획된 사업을 정상적으로 추진하기 힘들기 때문에 금융지원 등 정부 차원에서 도울 수 있는 부분을 논의했다"고 설명했다.

정 장관은 "법적으로 국내 방산업체의 핵심기술 연구 개발이 잘 될 수 있도록 범정부 차원에서 노력하고 있다"며 "방산 클러스터 등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려고 노력 중"이라고 강조했다.

방위사업청은 '방산혁신클러스터' 시범사업 첫 지역으로 경남·창원을 선정한 바 있다. 방사청은 방산 부품의 선제적 개발 및 국산화 확대, 대·중소기업 상생 협력 강화 등을 위해 사업을 추진 중이다.

국방부는 방산업체의 안정적 경영여건 보장을 위해 납기조정과 지체상금 면제 등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체상금은 계약 상대자가 계약상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았을 때 징수하는 배상금을 말한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27개 업체가 30여건의 건의사항을 발표했다.

건의사항 중에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상생 협력을 위한 국내개발 환경 조성, 무기체계 양산 때 국내 중소협력업체 개발품목 우선 적용 등이 있었다.

이에 국방부는 "무기체계 제안서 평가에서 중소기업에 가점을 부여하는 등 우대 정책을 시행 중"이라며 "국산화 부품 개발 때 중소·벤처기업을 먼저 고려해 선정하는 등 부품 국산화 정책을 강화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방산업체 CEO 간담회는 방위산업 발전 정책 수립과 방산업체 애로사항 해소를 위해 2018년 12월 처음 개최됐다. 이날 간담회에는 기아자동차, 대우조선해양, 대한항공, 두산인프라코어, 한화, 한화디펜스, 한화시스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현대중공업, 퍼스텍, 풍산, 한국항공우주산업, 한국화이바, 한진중공업, LIG넥스원, STX엔진, S&T모티브, S&T중공업, 넵코어스, 다산기공, 데크카본, 삼양컴텍, 삼양화학공업, 아이쓰리시스템, 이오시스템, 휴니드테크놀러지스 등의 대표가 참석했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