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홍콩 시위 1년…日은 “G7에서 우려 표명” 韓은 “예의주시”
日, 中 우려에 “확실히 주장할 건 해야” 반박
美中 압박에 정부는 “일국양제 중요” 신중론
대규모 집회 예고에 교민에겐 ‘주의’ 당부
홍콩의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민들이 지난 9일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반대 100만명 시위 1주년을 맞아 휴대전화 조명을 켜고 거리를 행진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유오상 기자] 중국 정부의 과도한 개입에 저항하는 홍콩 내 반(反) 중국 시위가 1년을 맞으며 홍콩 문제를 둘러싸고 국제사회의 우려가 계속되고 있다. 주요 7개국(G7) 차원의 성명 발표를 두고 일본과 중국이 마찰을 빚는 등 국제사회의 참여 요구가 강해지는 상황에서 우리 정부는 상황을 예의주시한다는 기본 입장을 고수 중이다.

12일 외교가에 따르면 일본 외무성은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에 반대하는 G7 공동성명 발표를 일본이 주도하겠다”고 한 것에 대한 중국 정부의 항의에 “확실히 주장할 것은 주장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오타카 마사토(大鷹正人) 일본 외무성 보도관은 지난 11일 기자 회견에서 “현재의 홍콩 상황에 대해 깊이 우려하고 있다”며 “상대국의 입장도 있겠지만, 중국에 대한 일본 정부의 입장은 확실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중국 정부는 “홍콩과 중국의 문제는 내정으로 어떤 나라도 간섭할 권리가 없다”며 아베 총리의 발언을 강하게 비판했다. 그러나 일본은 미국을 중심으로 한 반중 연대에 더 힘을 싣는 모양새다. 호주와 프랑스, 영국 등도 중국의 비판 속에서도 홍콩 국가보안법 반대를 재차 강조하고 있다.

홍콩에 대한 입장 표명을 놓고 미중 사이에서 압박을 받고 있는 우리 정부는 여전히 “상황을 예의주시하는 중”이라며 신중한 모습이다. 외교부는 홍콩 내 문제에 대해 “홍콩은 우리에게 밀접한 인적·경제적 교류 관계를 갖고 있는 중요한 지역”이라며 일국양제(一國兩制·한 국가 두 체제) 하에 홍콩의 번영과 발전이 지속되는 것이 중요하다. 1984년 중영공동성명의 내용을 존중한다”는 입장이다.

사실상 미중 양국 모두를 고려한 외교적 표현으로, 한쪽 편을 들지는 않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우리 정부의 원론적 입장에 마크 내퍼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부차관보는 “홍콩의 일국양제가 위협받고 있다는 것을 언급하기 위해 한국이 그 입장을 낸 데 대해 감사한다”고 공개적으로 언급했고, 중국 역시 대사관 채널을 통해 홍콩 문제에 대한 중국 측 입장을 재차 강조하는 등 한국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한편, 홍콩 국가보안법을 둘러싼 홍콩 내 시위가 격화하며 외교부는 현지에 체류 중인 우리 국민에게 안전에 주의해달라는 당부를 전달했다. 외교부는 “현재 홍콩에서 보안법 이슈 쟁점화로 시위 빈도 및 강도가 점차 증가할 우려가 있어 우리 국민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osy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