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반도체 동시조립 생산성 100배↑…日보다 앞선 성능 구현
- 기계硏, 유연 반도체 생산 핵심 장비 기술 개발, 다수 반도체칩 동시 조립 가능
기계연 연구진이 개발한 3차원 플랙시블 반도체 패키지.[한국기계연구원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반도체 후공정의 생산성을 기존보다 100배 이상 높일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기계연구원은 송준엽 부원장 연구팀과 국내기업 프로텍이 공동으로 유연 반도체 생산 핵심 장비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갱 본더(Gang-Bonder)’ 장비는 머리카락 한 가닥의 절반보다 얇은 20㎛급 유연 반도체 칩을 파손 없이 고집적 유연기판에 배열하고, 조립정밀도 ±2㎛ 이내로 접속 및 적층시킬 수 있는 대면적 규모의 패널 레벨 패키지 조립 장비다.

Gang-Bonder 기술은 기존의 반도체 칩을 기판에 하나씩 조립하던 방식과 달리 여러 개의 칩을 동시에 조립하는 기술이다. 낮은 온도에서 일차적으로 칩을 간소하게 조립한 다음, 다시 대량의 칩을 일괄 전기 접속하는 방식이다. 반도체 칩에 가하는 열손상은 줄이고 생산성은 높인 차세대 방식으로 세계적으로 아직 상용화 사례는 없다.

연구팀은 Gang-Bonder 방식의 패키징을 구현하기 위해 특수 기체를 이용해 칩과 접촉하지 않고 압력을 인가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방식을 활용하면 칩 또는 기판의 두께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고 칩의 정렬이 틀어지는 조립 오차를 해결할 수 있다.

현재 반도체 패키징 조립은 개별 칩마다 조립 헤드부분이 기계적으로 압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이때 칩과 기판의 두께에 편차가 생기면 조립 오차가 발생할 수 있어 한 번에 만들 수 있는 양에 제한이 있었다. 연구팀은 기존의 일반적인 후공정 방식과 Gang-Bonder 방식의 생산성을 비교한 결과 시간당 반도체 생산량이 100배 이상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유연기판을 셀로 나누어 가열하되, 이를 동시에 진행해 균일한 열전달이 가능하게 했다. 기존 방식은 대면적을 한 번에 가열하는 단일 셀 구조로 열충격에 의한 히터 파손 문제로 가열 성능에 한계가 있다. 또 온도 분포가 균일하지 못해 안정적으로 공정을 지속하기 어렵고 생산성을 확보하기도 어렵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생산 공정의 속도는 높이고 불량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송준엽 기계연 부원장은 “이번에 개발한 Gang-Bonder 장비는 유럽, 일본 등 반도체 장비 선도국가의 소수 업체가 주도하고 있는 최고 사양의 반도체 조립 장비보다 앞선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이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카드, 메디컬 디바이스,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AI 반도체 패키지와 같은 웨이퍼 및 패널 레벨 패키지 초정밀 조립 분야에도 활용될 수 있어 관련 산업의 고속 성장에 따라 새로운 장비산업 창출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nbgk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