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치 플러스] “국회 가능성의 공간”…초선파워, 151개의 점을 찍다
여야 떠나 ‘목소리 키우기’ 진력
민주 원내대표 선출때 존재감 입증
“2040년 어젠다 제시” 범여 연구회
“총선 참패 극복은 근본적인 개혁뿐”
통합당 초선도 당 진로 설정 적극성
제21대 국회 초선의원들이 지난달 2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

151명. 21대 국회에 입성한 초선의 숫자다.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 만큼 이들의 행보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초선들은 여야 막론하고 목소리 키우기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11일 국회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의 초선은 각각 82명(46.5%), 58명(56.3%)이다. 정의당은 심상정 대표를 제외한 5명, 열린민주당은 3명 모두가 비례대표 초선이다. 초선의 총 인원은 지난 2004년 치러진 17대 총선(188명) 이후 가장 많은 숫자다.

숫자가 늘어난 만큼 초선들의 영향력도 커졌다. 지난달 실시됐던 민주당 원내대표 선거에서 후보들의 초선 표심 경쟁은 치열했다. 원내대표 후보들은 당시 초선들만을 위한 공약을 내놓기도 했다.

민주당 초선들은 공부모임이나 법안 발의 등을 통해 어젠다 선점에 주력하고 있다. 원내지도부가 공언한 것과 같이 ‘일하는 국회’의 모습을 부각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장경태·이소영 민주당 의원·류호정 정의당 의원 등 20~40대의 초선 의원 10명은 ‘2040’이라는 의원연구단체를 만들었다. 20~40대의 초선들이 모여 2040년의 미래 어젠다를 제시하겠다는 목표다.

대표 의원은 유정주 민주당 의원과 류 의원이 맡기로 했다. 김용민·홍정민 의원 등 10여 명은 당선 직후 ‘일맥상통(일하고 소통하는 국회 만들기)’이라는 소모임을 만들어 유튜브 방송을 통한 온라인 소통에 힘쓰고 있다.

반면 특정 공통 분모를 두고 세력화하려는 움직임은 자제하고 있다. 민주당 초선의 22%에 달하는 청와대 출신들이 대표적이다. 이번에 국회에 입성한 청와대 출신은 총 18명으로 거의 교섭단체 규모(20명)와 맞먹는다. 이들은 세간에서 제기된 세력화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의식한 듯 공식적인 모임을 자제하고 있다. 특히 지난달 원내대표 선거에서도 이들은 특정 후보를 공식적으로 지지하지 않았다.

청와대 출신의 초선 의원은 “원내대표 선거에 앞서 청와대 출신들끼리 ‘투표는 자유로 하되 특정 원내대표 후보 캠프엔 들어가지 말자’는 공감대를 형성했었다”며 “우리의 움직임이 행여나 청와대에 부담을 줄까봐 조심스럽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통합당 초선들은 당 내 현안에 대해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총선 참패 후 근본적 개혁이 절실한 통합당을 초선들이 앞장서 바꾸겠다는 의지다. 계파가 와해된 통합당 안팎에선 “초선이 최대 계파”라는 말도 나온다.

이를 반영하듯 임기 시작도 전부터 당의 진로 설정과 원내대표 선거에 대한 성명서를 두 번이나 냈다. 당 지도부도 이들의 의견을 받아들여 원내대표 선거에 처음으로 토론 절차를 도입했다.

당의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여연) 개혁을 위해 “당대표로부터 독립해야 한다”는 주장도 내놨다.

통합당 초선의원 모임인 ‘초심만리’는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에게 ▷여연원장을 당연직 최고위원으로 임명해 당의 정책과 호흡을 맞출 수 있도록 하고 ▷18개 정부부처에 대응하는 섀도 캐비닛을 설치하자고 건의했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초선들이 국회에 활력을 불어넣고 새로운 변화와 의제를 제시할 수 있다는 면에서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초선의 비율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이전 국회가 신뢰를 주지 못해 새로운 변화에 대한 국민적 요구가 높았다는 뜻”이라며 “초선들이 빠른 업무 파악과 전문성을 통해 정치권의 신뢰도를 높여줄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정윤희·이현정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