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리더스칼럼] 사람과 사람이 만드는 금융

2020년 8월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법의 발효를 앞두고 ‘P2P금융 서비스가 무엇이냐’는 문의가 많다. P2P금융은 자금이 필요한 개인이나 사업자와 다수의 투자자를 연결하는 서비스다. 모인 자금은 가계부채를 개선하는 데 활용되거나 소상공인과 중소 벤처기업의 운영, 주거안정 등에 주로 활용 된다. 이해를 돕는 차원에서 또 다른 사례를 들어보면 깨끗한 선거자금을 통한 정치문화를 위해 진행됐던 선거펀드도 P2P금융에 기반한다.

지난 대선 기간 선거자금을 마련하고자 출시했던 ‘문재인 펀드’는 매회 ‘완판’을 기록했다. 목표금액은 100억원이었는데 1만명이 넘는 투자자가 330억원을 모아줬다. 이 펀드는 후보가 대선에서 득표율 15% 이상을 기록할 경우 국고보조금으로 100% 선거비용을 보전받으며, 이자는 당비로 제공하는 것으로 기획됐다. 당시 문 후보는 여론조사기관에 따라 30~40%의 지지율을 기록했던 유력 후보였고 결국 대통령에 당선됐다.

다양한 선거 펀드는 꾸준히 등장했다. 지난 2010년 지방선거에서 유시민 전 장관은 도지사 출마를 위해 ‘유시민 펀드’로 41억원을 모았다. 이후 박원순 시장도 2011년 서울시장 재보궐선거에서 ‘박원순 펀드’를 통해 39억원을 마련했다. 2012년 제18대 대선에서는 ‘약속 펀드’로 박근혜 후보가 250억원을, 문재인 후보는 ‘담쟁이 펀드’로 300억원의 선거자금을 확보했다. 안철수 후보도 당시 대선에서 문 후보와 단일화 이전에 136억원의 선거자금을 모았다. 이처럼 당시 투자자들은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의 선거 펀드에 투자하고 연 2∼3%대의 수익을 지급받았다.

해외에서도 선거자금 마련을 위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미국 민주당 경선에서 힐러리 클린턴을 위협했던 돌풍의 주인공 버니 샌더스는 ‘풀뿌리 선거자금 모금’을 통해 유력인사들에 의해 좌우되는 슈퍼팩 후원 관례를 거부했다. 슈퍼팩은 기업 등이 주는 돈을 무제한으로 받을 수 있는 선거자금 법인이다. 샌더스는 슈퍼팩 정치자금 때문에 정치가 상위 1% 부유층을 위해 움직이고 99%의 시민을 소외시키고 있다고 비판하며, 기득권의 도움 없이도 대선에 나설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당시, 샌더스는 우리 돈 3만원에 해당하는 27달러를 740만명으로부터 후원받았고, 2450억원 이상을 선거자금으로 모아 대통령에 도전할 수 있었다. 그의 자금 모집은 상환을 약정하지 않는 후원 형식으로 진행된 반면, 국내 정치인들이 진행한 선거자금 모집방법은 P2P대출 서비스 방식이다.

일반인들도 P2P금융 플랫폼을 잘 활용하면 이들과 마찬가지로 다수의 대중으로부터 자금을 빌리는 주인공이 될 수 있게 된 것이다.

P2P금융 플랫폼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걸그룹 멤버부터 국회의원까지 이색 직업군에 있는 대출자도 P2P금융 플랫폼을 찾고 있다. 개인뿐 아니라 스타트업과 중소 벤처기업에 이르기까지 P2P대출을 통한 자금조달 사례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바야흐로 ‘사람과 사람이 만드는 금융’에 대한 시대적 수요가 날로 높아지며 새로운 금융이 열리기 시작한 것이다. ‘온투법’으로 통칭되는 ‘P2P’시대의 개막은, 이 같은 사금융이 제도권 내로 처음 들어오게 되는 분기점이란 점에서 의미가 깊다.

다가오는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법의 개시 이후 생산적인 가치에 대한 중금리 대출·중수익 투자가 활발히 진행되길 기대한다.

이효진 8퍼센트 대표이사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