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1대 국회, 주목! 이사람 - 미래통합당 박수영 당선인] “눈치 안보는 초선…보수개혁 정면돌파”
초선 결집 주도…당 개혁에 앞장
“거여 맞서 질 때도 당당히”
대통령 권한 축소…규제완화 주력

“한 번을 하더라도 제대로 해야죠. 계급장 다 떼고 달려들어도 될까 말까 인데.”

4·15 총선 참패 후 한 달여. 미래통합당이 지도체제를 놓고 갈피를 못 잡는 사이, 초선 당선인들 명의의 성명서가 두 번이나 나왔다. 당의 진로 설정과 원내대표 선거에 대한 소신 있는 목소리였다. 과거 초선의원들이 다선의원들의 눈치를 보며 숨죽이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들을 결집한 것은 박수영 부산 남구갑 통합당 당선인이다. 그는 헤럴드경제와의 인터뷰에서 “과거에는 초선이라고 눈치 보느라 아무 말도 못했지만, 이제는 그럴 때가 아니다”고 단언했다. 보수개혁과 중도층 확장을 위해서는 초·재선, 다선 할 것 없이 팔을 걷어붙여야 한다는 생각이다.

박 당선인은 “앞으로 대선을 준비해야 하는데 (총선)지역구 득표율은 우리가 8%포인트(p) 가량 (민주당에) 졌다”며 “5%p를 가져오면 이긴다는 얘기인데, 결국은 중도층에서 5%p를 가져와야 한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를 위해 그는 177석의 ‘거대여당’에 맞서 ‘당당하게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무리하게 길거리에 나서거나 단식, 삭발투쟁 등은 오히려 중도층의 외면만 가져올 뿐이라는 지적이다.

박 당선인은 “당당하게 본회의에 들어가 177대 103(미래한국 포함)으로 자꾸 지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며 “계속 지더라도 반대표를 던지면서 우리가 왜 반대하는지, 대안이 무엇인지 논리를 가지고 국민들에게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행정관료 출신으로 경기도 행정1부지사를 역임한 박 당선인은 한국 정치교체와 부산경제 부활을 의정활동의 목표로 꼽는다. 구체적으로는 대통령 임명권 축소와 기업 규제 완화다.

그는 “정치교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대통령의 권한을 축소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제왕적 대통령제’의 뿌리는 대통령의 임명권”이라며 “대통령이 임명하는 자리가 1만630개에 달하는데, 이는 미국 트럼프의 2300개보다 훨씬 많은 것”이라고 꼬집었다.

기업 규제 완화를 위해서 희망 상임위는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위)를 1지망으로 신청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기업에 부과하는 세금이 너무 많고, 규제가 너무 많다. 여기에 민주노총 문제까지 겹쳐서 기업 활동이 어렵다보니 일자리도 안 만들어지고 있는 것”이라며 “기업을 규제하는 법을 찾아서 조목조목 폐지 법안을 낼 계획”이라고 했다. 정윤희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