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FAO “코로나19 때문에…북한 등 새로운 식량위기”
“북한 등 취약국 지원 위해 3억5000만 달러 필요”
국경 폐쇄, 운송 차질, 파종·수확 중단…식량난 우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코로나19 인도주의적 대응계획 대상 국가. [FAO 보고서]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북한을 비롯한 47개국이 식량 부족 사태를 겪을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18일(현지시간) 발표한 ‘코로나19가 식량위기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북한 등 취약국의 1억8300만명이 식량 불안정 상태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FAO는 보고서에서 부유한 국가들조차 코로나19에 따라 식량 접근성에 미치는 영향이 이미 가시화되고 있다며 “보건 위기가 해결될 때까지 식량위기 문제에 손을 놓고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 사태로 국경 폐쇄와 운송 차질 등 세계 물류망이 영향을 받는데다 농업에 의존하는 취약국들의 경우 농번기 작업과 수확 중단 등 문제가 보다 심각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과거 식량위기의 문제점은 공급과 수요 가운데 한쪽이었지만 지금은 둘 모두 문제가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파종과 수확에 영향을 미치고 결국 세계적인 식량위기를 야기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사전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북한과 미얀마, 필리핀 등 30개국의 코로나19에 따른 식량 위기 대응을 위해 올해 말까지 3억5000만 달러가 필요하다고 내다봤다. 이는 FAO가 지난달 발표한 1억1000만 달러보다 3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앞서 마크 로우코크 유엔 인도지원담당 사무차장은 지난 7일 발표한 코로나19 국제 인도적 대응 계획 개정안을 통해 북한 등 63개 최빈국의 코로나19 대응 지원을 위해 올해 말까지 67억 달러가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FAO는 이미 발표한 보고서에서 북한을 식량 부족 국가로 분류하면서 코로나19가 상황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북한 주민 가운데 1010만여명은 식량이 불안정한 상태이며 특히 전체 어린이 중 20%는 영양부족으로 인한 발육부진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