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트럼프, 밖으론 중국탓 안으론 오바마탓
“시진핑과 당장은 대화 안해”
반중정서 자극 바이든 때리기
“러 스캔들, 전 정부의 사기극”
反오바마로 지지층 결집 노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에 대해 “그는 무능한 대통령이었다. 그게 내가 말할 수 있는 전부다. 엄청나게 무능하다”고 비난하고 있다. [AP]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밖으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의 책임이 있다며 연일 ‘중국 때리기’에 나서는 한편, 안에선 버락 오바마 전 행정부에 대한 비난의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피터 나바로 미국 백악관 무역·제조업 정책국장은 17일(현지시간) A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11월 대선의 경쟁자로 민주당 대선후보로 사실상 낙점된 조 바이든 전 부통령과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친중’ 인사라는 점도 강조하며 비난하고 나섰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중국 책임론’으로 불거진 미국 내 반중 정서를 자극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바이든은 중국의 오랜 친구이고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맞선 유일한 대통령”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현대사에 있어 가장 아름다운 경제를 3년 반 만에 건설했는데 중국은 약 30일 만에 끌어내렸다. 중국을 비난한다”고 말했다. 이어 “내가 아는 바로 그의 행정부는 수백만의 (미국) 제조업 일자리를 중국으로 떠나가게 한 무능 그 자체였다”고 덧붙였다.

나바로 국장의 발언은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신냉전’이라 평가될 정도로 중국과 첨예한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움직임과 일맥상통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5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지금 당장은 대화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전날 “중국과 관계를 끊을 수도 있다. 모든 관계를 끊는다면 5000억달러를 절약할 것”이라고 말한 것에 이어 또 한 번 중국에 대한 고강도 불만을 표출한 것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실질적인 경제적 타격을 중국에 가하는 조치를 잇따라 시행하고 있다. 중국 통신장비업체인 화웨이에 대한 제재 기한을 1년 연장한데 이어, 미국 연방퇴직저축투자위원회(FRTIB)에 중국 주식 45억달러(약 5조5200억원)를 투자하기로 한 계획을 연기하라 명령했다.

미·중 갈등은 중국의 ‘아킬레스건’으로 평가되는 홍콩 문제로도 번지는 모양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17일 “중국 정부가 홍콩에 있는 미국 언론을 위협했다”며 “이는 미국이 홍콩의 (자치권) 지위를 평가하는 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트럼프 행정부의 움직임은 그동안 코로나19 대응 미숙으로 인한 비난 국면을 전환하고, ‘반(反) 중국’ 정서를 자극해 지지층을 결집함으로써 11월 대선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한 전략으로 분석된다.

지지층 결집을 위한 전략은 ‘반(反) 오바마’ 정서를 자극하는 발언을 연이어 쏟아내는 것으로도 나타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자신을 겨냥한 ‘러시아 스캔들’ 수사가 미국 역사상 “가장 큰 정치적 범죄”라며 오바마 행정부가 꾸민 “사기극”이라고 비난했다.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2016~2017년 미 연방수사국(FBI) 수사 당시 허위진술 혐의로 기소됐던 마이클 플린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수사를 거론하며 “FBI가 뒤쫓았던 것은 플린이 아니었다”며 “그들(FBI)은 플린이 나(트럼프)에 대해 거짓말하고 이야기를 꾸며내길 원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 러시아 의혹 수사는 오바마 행정부가 벌인 ‘공작(오바마 게이트)’이라며, 당시 행정부 2인자 바이든 전 부통령도 함께 비난했다. 그는 “오바마와 바이든이 모든 것을 알고 있었다”며 “모든 것이 부패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메릴랜드주의 대통령 별장인 캠프 데이비드에서 주말을 보낸 뒤 이날 백악관으로 복귀해 기자들과 만나서도 “그(오바마)는 무능한 대통령이었다. 그게 내가 말할 수 있는 전부다. 엄청나게 무능하다”고 비난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5일부터 주말 사이 자신 혹은 측근들의 비리 의혹을 파헤치는 3개 부서의 감찰관을 전격 경질했다. 이에 대해 언론과 야당은 물론 여당 일각에서도 “권력 감시를 무력화하는 보복 인사”라는 거센 비판이 나오고 있다.

신동윤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