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부 "한중일 기업인·의사 이동 확대위한 후속 논의 할 것"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연합]

[헤럴드경제]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한중일 기업인들과 의료진들의 이동과 교류를 확대하기 위한 후속 논의를 이어가겠다고 16일 밝혔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 겸 홍보관리반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전날 한·중·일 보건장관회의 논의 결과와 관련, "필수인력의 이동에 대한 부분은 정부 전체 논의가 필요한 부분"이라며 "외교적인 부분에서 전체 논의를 통해 가능한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손 반장은 "어제 제안이 들어갔고, 이후 정부 간 외교채널을 통한 논의와 한·중·일 보건장관회의 후속 논의 등을 통해 계속 구체화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과 마샤오웨이(馬曉偉)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 주임, 가토 가쓰노부(加藤勝信) 일본 후생노동상 등은 전날 저녁 특별영상회의를 열어 코로나19 보건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3개국의 보건 수장은 각국의 코로나19 현황과 정책을 공유하고, 포스트 코로나19 시대를 대비한 방역정책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영상회의에서 박 장관은 과학자, 의사, 기업인 등 필수 인력의 이동을 확대하는 방안을 제안했다고 복지부가 전했다.

NHK 보도에 따르면 가토 후생노동상은 코로나19의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 중국과 한국의 경험을 공유해주면 좋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손 반장은 회의 중 발언 내용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번 회의에 대해 "정례적으로 열리던 보건장관회의가 코로나19 사태 때문에 한동안 열리지 못하다가 다시 개최된 데 큰 의의가 있다"며 "이제 다시 3국 보건장관 사이에 협력과 교류의 네트워크가 활발하게 가동될 수 있는 체계가 갖춰졌다"고 평가했다.

그는 "특히 한·중·일은 지역적으로 동일 권역이라서 코로나19와 같이 감염병에서 공동의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며 "어느 한 나라만 코로나19로부터 안전해진다고 하더라도, 이동과 교류가 활발해 전체가 잘 제어되지 않으면 재유입될 위험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일본 정부는 자국 내 코로나19 확산 사태 수습이 우선이며 이후 상황을 보며 판단하겠다는 입장이다.

일본 외무성에 따르면 모테기 도시미쓰(茂木敏充) 외무상은 15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기업인 등의 왕래 허용과 관련해 "우선 일본에서 감염 확산 수습이 필요하다"고 전제하고서 "해외의 상황을 더 확실하게 살펴본 후" 상대국의 감염 확산 등 제반 정보를 종합해 검토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모테기 외무상은 입국 허용을 "단계적으로 나눠서 하게 되는 게 아닐까 생각한다"며 핵심 인재, 사업상 필요한 인물, 전문가 등이 먼저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모테기 외무상은 관광객 등 일반인의 입국을 허용하는 것은 이보다 훨씬 뒤에나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